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창룡문] 사불삼거

이창식 주필

조선 시대 관료사회의 청렴도 잣대로 사불삼거(四不三拒)라는 불문율이 있었다.

관료는 부업을 가져서는 안된다는 것이 일불이다. 영조 때 호조(戶曹) 서리로 있던 김수팽이 어느날 혜국(惠局) 서리로 있는 동생집에 갔더니 항아리마다 염색 물감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보고 어디 쓰는 것이냐고 물었다. 계수씨가 생계에 보탬이 될까해서 한다고 하자 “우리 형제가 국록을 먹고 있으면서 이런 짓을 하면 가난한 백성들은 무엇으로 생업을 유지하겠느냐”며 동생을 매로 치고 염색물을 모두 쏟아 버렸다. 관료로 재직하는 동안 땅을 사지 않는 것이 이불이다. 윤석보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 고향에 두고 온 아내가 시집 올 때 입고 왔던 비단 옷을 팔아 채소밭 한 뙈기를 샀다. 이 소식을 전해 듣자 그는 조정에 사직서를 내고 고향에 내려와 시명(侍命)하였다. 집을 늘리지 않는 것이 삼불이다. 대제학 김유는 서울 죽동에 살았는데 워낙 집이 좁아 아들들이 처마 밑에 자리를 깔고 자곤했다. 그가 평안감사로 나가 있는 동안 장마비에 처마가 무너지자 아버지 승낙없이 몇치 더 늘려 고쳤다. 나중에 이 사실을 안 그는 당장 늘린 처마를 잘라버렸다. 재임하는 동안 그 고장의 명산물을 먹지 않는 것이 사불이다. 조오가 협천군수로 있을 때 고을의 명물인 은어를 입에 대지 않았고, 제주목사 기거는 그곳 명물인 전복 한 점을 먹지 않았다.

윗사람이나 세도가의 부당한 청탁을 거절하는 것이 일거다. 중종 때 청송군수 정붕은 당시 영의정 성희안으로부터 청송 명물 꿀과 잣을 보내 달라는 전갈을 받고 “잣나무는 높은 곳에 있고 꿀은 민가의 꿀통에 있으니 어찌 얻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거절했다. 청을 들어주고 답례를 받지 않는 것이 이거다. 사육신인 박팽년이 친구 하나를 관직에 천거하자 답례로 땅을 주었다. 그는 땅을 도로 가져가던지 관직을 그만두던지 택일하라고 했다. 경조사 때 부조를 받지 않는 것이 삼거다. 현종 때 우의정 김수항은 아들이 죽자 충청병사 박진한이 베 한 필을 보내왔는데 도로 보냈다고 한다. 조금 지나친 감은 있으나 참작할 여지는 있어 보인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