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지역상권이 무너지고 있다

뉴타운으로 대변되는 도심재개발 사업으로 어릴 적 골목길 동네 풍경이 사라졌다. 그 동네풍경의 한 가운데에는 언제나 재래시장이나 구멍가게가 소박한 모습으로 힘겹게 앉아 있었다. 도시화 열풍이 불기 시작하면 우선 부동산 간판이 최대한 크게 자리를 차지하고 들어서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우리 현대사의 마지막 그림, 골목길 풍경은 점차 사라져 간다. 구멍가게에 얽힌 서민들의 애환이 그런 정도의 애잔한 추억으로 남겨지는 뒷 켠에는 기업 형 대형 유통업체들의 엄청난 집중포화가 휩쓸고 지나간다. 대형 유통업체들이 막대한 자본과 영업력을 바탕으로 지방 상권은 물론 골목길 구멍가게 풍경마저 싹쓸이하고 있다. 재래시장이나 영세 상인들의 생존권에 엄청난 위협이 되고 있는 것이다. 수원 영통시장은 반세기 이상의 오랜 상권을 지닌 경기도 내 최고의 상권이었다. 2006년까지만 해도 웬만한 점포의 권리금이 2억 원을 웃돌기도 했다. 시름시름하더니 올 2009년 들어서는 2억 원의 권리금은 ‘제로’ 상태로 돌아왔다. 권리금은커녕 그냥 준대도 장사할 사람이 없다. 재래시장이 완전히 죽어버린 것이다. 지방정부에서는 계속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을 내 놓고 있지만 이제 백약이 무효인 상태가 된 것이다. 홈플러스를 비롯한 대형유통업체들은 24시간 영업을 하고 골목길 구멍가게조차 직영점으로 간판을 바꿔달기 일쑤다. 이에 대응하는 영세업자들의 호소가 눈물겹다. 지방자치단체들도 서민경제 보호를 내세우며 유통업체에 대한 규제를 시도하고는 있지만 그것도 여의치 않다. 지역별로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들 대형유통업체가 들어서면 지역 3㎞ 내의 전통시장이나 구멍가게들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 우선 대량공급을 통한 값싼 상품을 외면할 소비자들은 없다. 계절에 상관없이 냉난방 잘되고 환경시설이 완벽한 곳에서 값싼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는 달콤함을 거부할 소비자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궁색하나마 하소연 하는 것이 상도의다. 그런 하소연이 먹혀들 리 없다. 힘으로는 도저히 상대가 되지 않는다. 충북지역에서는 이에 대한 대응조치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모양이다. 각 시민사회단체와 소상공인들이 중심이 된 민생경제 살리기 운동본부를 구성하고 24시간 영업철회와 상생협약체결을 촉구하는 등 비교적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이것 역시 해결책이 될 것 같지는 않다. 지역경제와 서민경제 보호차원에서 지금부터라도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 대형유통업체 진출 등을 규제하고 영업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조례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