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열풍이 예사롭지 않다.
이명박 대통령의 ‘녹색성장의 동반자’라는 선언적 한마디에 주식시장이 술렁거렸다. 여기에 5년 내 세계 3위 수준의 자전거 생산국이 될 거라는 한마디는 자전거에 힘을 실어준 결정타였다. 끝이 보이지 않는 경제 불황에 유가상승이 겹치면서 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일부 공직사회를 비롯한 시민단체 등에서 자전거 타기 운동이 붐을 일으키고 있는 것도 현재진행형인 사실이다.
문제는 이렇게 좋은 자전거 타기가 왜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고 마냥 그 타령이냐 하는 것이다. 자전거 애호가들의 첫째 주문은 간단하다. 안심하고 탈 수 있는 자전거 도로가 없다는 것이다. 많이 타면 건강에도 좋고 경제적 효과도 크고 환경보호에도 좋고 어디하나 나무랄 데가 없는 자전거다. 그런데 왜 이렇게 지지 부진하냐고 따져 물으면 그 답은 두루 뭉실 구렁이 담 넘기에 그치고 만다. 정부에서는 녹색뉴딜 계획에 따라 총 3114㎞에 이르는 해안일주 도로와 접경지역 자전거 도로를 하나로 연결하는 안전도로 벨트를 개설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온실가스 배출 없는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가 각광받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그러나 우리의 현재 상황으로는 자전거를 안심하고 탈 수 없다는 근본원인은 젖혀둔 채 타라고 떠미는 모습으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기본정책에 대한 운용의 묘가 보이질 않기 때문이다.
자전거가 정상적인 교통수단으로 활성화되기 위한 몇 가지가 시민운동 차원을 뛰어 넘는 도시발전 정책의 한 분야로 선행되어야 한다.
자전거는 단거리 교통수단으로 더 적합하다.
학교에서 집으로, 또는 시장에서 집으로 학생들과 주부들이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전국일주 도로를 개설하는 것과 통학용 또는 출퇴근용의 단거리 자전거 타기는 기본적으로 그 궤가 다른 것이다. 건강지킴이용이나 레져용으로 타는 자전거가 아닌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용품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광역 교통수단으로 사용하기에는 바쁘기 짝이 없는 현대생활에 무리가 따른다.
도로며 보관수단, 사용 후 뒤처리를 위한 제반시설 등 한 두 가지가 아니다. 또 자전거의 고급화를 위한 생산체제도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다. 정부의 뜻대로 자전거 국산화가 고급화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너무나 많은 것으로 보인다. 염가형은 물론이거니와 고급형 자전거도 단기간에 국내 생산을 늘리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안전도로 개설과 부품산업육성, 제조단가조정 등이 먼저 이루어지지 않으면 모처럼 불어 닥칠 자전거 열풍의 거품이 꺼질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