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민장으로 결정돼 애도의 기간을 거친 마지막 날이다. 이른 새벽 김해 봉하 마을 마을회관 빈소에서 유가족과 친인척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인제를 마친뒤 노 전 대통령의 유해를 실은 운구 행렬은 영결식장인 경복궁 앞뜰에 도착해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 정·관계 주요인사, 주한 외교사절,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영결식을 거행한다.
영결식은 낮 12시쯤 끝날 것으로 보이며 노제를 치른 뒤 수원시 영통구 하동에 위치한 수원연화장으로 옮겨져 화장된다. 저녁 무렵 운구행렬은 장지인 김해로 향해 오후 9시 전후 봉하마을로 돌아와 안장식을 거친 뒤 노 전 대통령 유해는 봉하마을 사저 옆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12번지 일대 야산에 묻힐 것으로 보인다.
장례기간 동안 노 전 대통령의 고향인 봉하마을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 분향소를 설치해 국민 누구나 참배할 수 있도록 해 국민이 한마음으로 애도의 뜻을 표시하고 고인을 추모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당초 가족장을 희망했던 유가족들도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국민이 함께 슬퍼하고 그가 남긴 뜻을 되새기면서 국민 화합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주변의 권유를 받아들여 국민장에 동의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국민장의 뜻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것 같은 분위기가 이어져 안타까운 마음 금할 수 없었다. 노 전 대통령이 죽음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 대해 분노하고 책임을 묻고 싶어하는 지지자들의 심정을 전혀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다. 노 전 대통령이 유서를 통해서 밝혔듯이 분열과 반목을 원했을리는 없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열리는 오늘 진보성향 사회단체들이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둘러싸고 벌였던 촛불집회를 뛰어넘는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경찰 등 관계기관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경찰은 ‘갑호 비상’ 근무 체제를 가동하고 경복궁 인근 광화문사거리 등 차도를 통제할 예정이다. 국민장의 후유증이 이런 식으로 전개되는 것은 노 전 대통령이 전하려 했던 통합의 정신에도 위배된다.
이런 국가적·국민적 불행이 되풀이 되지 않게 하려면 우리가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지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더 이상 편가르기나 네탓 공방을 하지 말아야 하며 말로만 화해, 화합, 관용, 통합을 떠들지 말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방법을 정치권, 재계, 사회단체 모두 머리를 맞대고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