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는 세계와 아시아인이 동참하는 지구촌 스포츠축제이기도 하지만, 대한민국의 브랜드를 드높이는 신성장 동력의 모티브가 될 것이기에 기대가 크다. 특히 개항을 통해 이 나라 근대화의 물꼬를 텄던 인천에서 펼쳐질 인천AG는 전근대 조선을 근대 한국으로 바꾼 1세기의 변화를 조감한다는 관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정부는 물론 인접 도시인 경기도로서도 관심과 함께 가능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사안이다.
그런데 인천시가 인접시 경기장 신설 예산을 삭감하는 내용의 도마뱀 꼬리 자르기식의 예산안을 정부에 제출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고조되던 공동협력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꼴이 되고 말았다. 인천시는 AG 유치에 성공하고 나서 인접 도시 경기장 15개소를 이용하되, 개·보수가 가능한 11개소를 제외한 4개 경기장은 국고보조와 자체 예산으로 새로 짓기로 하고, 3650억원의 국고 보조를 요청했었다.
신설계획에 든 4개 경기장은 시흥시 종합운동장과 실내체육관, 김포실내체육관, 고양실내체육관 등으로 모두 인천 가까이 있는 경기도 관할구역이다. 3개 시는 인천AG 사업계획에 동의하고 이미 자체 계획을 수립, 정부에 연차적 국고보조를 요청한 상태다. 이런 상황 전개를 모를 리 없는 인천시가 4개 신설 경기장 건설 예산을 전액 삭감한 수정 예산안을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한 것이다. 과다한 국고보조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정부 입장을 배려한 고육지책이라는 것이 인천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황당한 소식을 접한 3개 시는 국고보조 없이 자체 예산만으로 경기장을 건설할 수는 없다며 최악의 경우 경기장 건설 계획 자체를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정부로부터 사업승인 계획을 받아 낸 뒤 인접도시 경기장 활용 계획을 수정할 계획이라고 말하고 있다. 대역사(大役事)를 치르려면 예상 밖으로 어려움이 많이 있다는 것은 이해한다. 그러나 이번 경우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 이해하기 어렵다. 4개 보조경기장 없이도 대회를 마칠 수 있다면 달리 할 말이 없다. 하나 4개 경기장 없이 대회 운영을 할 수 없는 형편이라면 정공법을 써서 정부를 설득하는 것이 옳은 일이지, 속내가 뻔한 편법을 쓰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