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창룡문] 곡자상(穀字床)

이창식 주필

고려말 제25대 충렬왕(1274-1308)부터 제32대 충정왕(1348-1351) 때까지 77년 동안은 원(元)나라의 지배를 받으며 갖은 억압과 시련을 겪은 국권 상실의 시기였다. 고려는 원나라 요구에 따라 환자(宦者·내시), 노비, 공녀(貢女)를 해야 했고, 탐라총관부(제주도), 동령부(자비령 이북), 쌍성총관부(철령 이북)은 원나라에 통치권을 내줘 영토까지 빼앗겼다. 착취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일본 원정(遠征)을 구실 삼아 고려군으로 동정군을 편성하고 함선, 군량, 병기, 선원, 집기 등까지 고려에 부담시켰다. 내정 간섭도 나날이 자심해 백성들은 인간답게 살지 못할 바에는 죽는 것이 낫겠다는 자학의 소리가 비등했다. 심지어 고려의 국호를 없애고 원의 일개 성(省)으로 개편하자는 친원파의 주청이 있었으나 익제(益齊) 이제현의 반대로 실현되지 않았다.

이 시기에 구국 일념으로 원에 맞선 이가 대성리학자 가정(稼亭) 이곡(李穀)이었다. 그는 1335년(충숙왕 4) 전의부령(典儀副令)으로 원도(元都)에 있을 때 어사대를 향하여 동녀구색(童女求索·어린 처자를 구하여 찾아냄)을 말아달라는 소를 지어 원순제에게 바쳤다. 소의 글귀가 너무 절절해 눈물없이는 읽을 수 없었고, 간곡한 청원에 원순제도 감동하여 이곡의 청을 받아들였다.

이렇듯 공녀 문제를 해결한 이곡이 나라로 돌아오자 부녀자를 비롯한 남녀노소가 모두 나와 환영했는데 그 인파가 송도까지 이어졌다. 가정 이곡은 1351년(충정왕 3) 54세를 일기로 타계했지만 그가 남긴 위대한 구국활동은 훗날 고려의 자주성 회복과 영토 탈환의 밑거름이 되었다.

민간에서는 공녀제도를 단절시킨 이곡의 뜻을 기리고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곡자상(穀字床)을 만들었다. 곡자상이란 이곡의 ‘곡’자를 딴 것으로 혼인 때 초례(醮禮)를 치르기 전에 초례청 한 구석에 곡자상을 마련하고, 보은제를 드리는 민간풍속으로 자리잡아 조선 시대까지 이어졌다. 한일 합방 후 자취를 감추고 말았지만 곡자상의 본뜻만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