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4대강 문화유적 어떻게 할 건가

선조들의 4대강 문화재지표조사가 발표됐다. 우리 생활터전이었던 4대강을 대상으로 이뤄진 첫 종합조사여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앞서 중요하게 떠오른 것이 주변문화유적에 대한 보존 방식이었다. 그래서 이번 지표조사는 사업개시 직전에 도달한 첫 걸림돌이 될 공산이 큰 것이다.

정부는 지난달 8일 4대강 주변에 총 1482건의 매장문화재 분포지를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숫자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엄청난 규모의 토목공사가 어떻게 이 유적들을 보존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인들의 주택공사만 해도 매장문화재에 대한 사전 지표조사를 끝내야만 허가를 얻을 수 있을 만큼 우리사회에서의 문화재지표조사는 일반화돼 있다. 그만큼 시민들의 문화유물에 대한 안목이 높아져 있기 때문이다.

영세한 개인건축업자들도 이 문제만 나오면 이내 숨을 죽인다. 그런데 이 어마어마한 지역의 지표조사를 단 열흘 만에 끝냈다니 우선 그 조사기간부터 의아심을 갖게 한다. 개발과 보존의 논리로만 해석하는 것에서부터 문제가 있어 보인다. 공사일정에다 문화재조사 일정을 꿰맞추고 있다는 인상이 짙다.

문화재지표조사는 언제 어디서 무슨 유물이 나올 지 예상할 수 없는 조사다. 정부는 이번 조사용역비로 25억 원을 들여 각 해당지역별 전문기관에 의뢰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조차 시간의 촉박함과 지표조사의 한계를 여러 차례 강조하며 어려움을 토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문화정책을 결정하는 문화재 위원들은 정작 보고서를 보지도 않은 채 심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문화재지표조사의 효율성과 관련된 시시비비를 가리자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국책사업에서조차 문화재 관련 업무를 소홀히 하는 그 졸속행정의 폐해가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 그것이 두려운 것이다. 토목공사일정에 맞춘 문화재 발굴조사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리가 없다. 더군다나 강변유적 발굴사업에는 지표조사로 시작해서 시굴조사, 발굴조사 외에 수중조사까지 해야만 제대로 된 문화재보존사업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문화재발굴조사는 토목공사 하듯 일정에 맞춰 밀어붙이면 끝나는 사업이 아니다. 그동안 대운하를 놓고 설왕설래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정치적 역학관계는 우선 접어들고 순수한 눈으로 4대강 사업을 지켜본다 해도 문화재 보존에 대한 집행진들의 시각의 전환이 절실한 때가 됐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