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창룡문] 신종 고려장

이창식 주필

조선 시대까지만 해도 실제로 있었던 것처럼 회자된 것이 ‘고려장’이었다. 알다시피 고려장이란 늙은 부모를 깊은 산 속에 내다버려 죽게 한 야만적 장례방식을 말한다. 그런데 역사 학자들 말에 따르면 고려장 제도는 실제로 있었던 것이 아니고 설화였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고려장 설화는 약 30가지가 있다고 하는데 대표적인 유형으로 다음의 두가지를 꼽는다. 첫째 유형은 어떤 사람이 늙은 아버지를 산에 버리기 위해 지게에 짊어지고 산으로 가는데 아들이 따라갔다. 깊은 산에다 아버지를 버리고 지게를 놔둔 채 하산하려니까 아들이 아버지더러 지게는 가지고 가자고 했다. 아버지가 그 까닭을 묻자, “아버지가 늙으시면 제가 아버지를 이 지게로 내다버려야 하지 않겠습니까”라고 대답했다. 아버지는 버렸던 늙은 아버지를 도루 지게에 지고 집으로 모셔와 오래토록 봉양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유형은 우리나라가 중국의 속국으로 지낼 때 중국이 우리나라를 깔보고 국왕에게 수수께끼를 내려서 풀도록 하였다. 수수께끼를 풀면 나라가 살고, 못 풀면 살아남지 못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었다. 수수께끼인 즉 아래, 위 굵기가 같은 통나무를 잘랐을 때 어느 쪽이 뿌리가 있던 쪽이고, 어느 쪽이 가지가 있던 쪽이냐를 알아 맞추라는 것이었다. 조정의 군신·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심했지만 답을 찾지 못해 근심걱정이 태산 같았다. 어느 고을의 한 촌노가 이 말을 전해 듣고 “통나무를 물에 띄워 보아라. 무거운 쪽이 갈아 앉게 마련인데 그 쪽이 뿌리 쪽이고, 뜨는 쪽이 가지 쪽이다”라고 일러 주었다. 촌노 덕분에 나라가 살았다 하여 상을 내리고 노인을 공경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얼마전 백혈병에 걸린 친구가 입원한 병원을 찾아 갔는데 면회를 하지 못했다. 무균실이라 들어 갈 수 없다는 것이다. 환자 치료를 위해 당연한 조치다. 그러나 가족도, 친구도 만나지 못하고 의사와 간호사만 쳐다 보고 있는 그의 심정은 어떻겠는가. ‘면회금지’ 표찰을 보면서 신종 ‘고려장’ 못지않다는 생각이 들어 언짢았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