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가 인력구조조정 문제를 둘러싸고 회생과정에서 위기를 맞고 있다.
사측은 전체 직원의 30% 이상(2767명) 감원과 신규자금 조달을 회생방안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노조측은 이를 거부하고 정리해고 반대와 사측의 신규자금 조달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주장하고 있다. 노조에 대한 평택공장 점거 중지 가처분신청이 결정되고 손해배상 청구소송이 제기되는 등 사측의 압력이 더욱 높아지며, 공권력 투입의 전망도 나오고 있다. 쌍용차의 강경대응 국면이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지는 않을까 우려스럽다.
쌍용차는 최근까지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이 6천대를 넘어섰고, 매출 손실은 1천400억원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976명의 직원은 강제 해고됐고 1000여 명의 직원들은 어쩔 수 없이 희망퇴직을 했다. 가족들은 생계를 위해 일거리를 찾아다니며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며칠 전에는 희망퇴직한 쌍용차 직원의 자살사건까지 발생했다. 협력업체와 지역 상권은 말할 것도 없다. 쌍용차의 위기는 곧 국민의 위기다.
그러나 이런 와중에도 정부는 조용히 있다.
산업은행을 앞세워 회생조건만을 요구할 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려고도, 지원에 나서려고도 하지 않는다.
그러니 여론은 정부에 대한 반감만을 표출하게 된다.
이정아 쌍용차가족대책위원장은 “쌍용차의 법정관리에서 죽어나는 것은 노동자들과 그의 가족들”이라며 “정부에서 매각을 주도했던 만큼 책임지고 사태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탁 산업노동정책연구소 부소장은 “쌍용차는 개별 기업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감안해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장선 지식경제위원장(민주당·평택을)은 “노사간 대화와 협상을 통해 이번 일이 잘 마무리될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 중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쌍용차 사태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이제는 정부가 쌍용차 사태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힐 때다. 쌍용차를 파산낼 것인지 회생시킬 것인지, 그 열쇠는 정부가 갖고 있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