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저축률 급락, 예삿일 아니다

경제적으로 궁핍하던 시절, 우리의 최대 미덕은 근검절약이었다. 검소한 생활 속에서 저축을 생활화했던 시절이 있었다. 청천벽력 같은 IMF외환위기 때만 해도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은 세계최고 수준이었다. OECD회원국 가운데 으뜸이었던 24.9%를 자랑했고 그 자부심 또한 모든 국민들의 가슴을 따뜻하게 했다.

불과 10년 뒤 우리의 저축률이 OECD국가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는 통계가 나왔다. 아무리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 했지만 도저히 믿기지 않는 ‘사태’다. 왜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게 됐다. 저축률이 낮으면 투자와 가계재무구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경제성장은 자리를 멈추게 되고 가계부채상환능력이 악화되는 것이다.

70~80년대의 높은 저축률이 투자활성화로 이어져 우리 경제의 고도성장을 이끌어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저축률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투자가 줄어들고 생산성이 둔화되고 경제성장이 위축되기 마련이다. 수출은 우리경제의 핵심이다. 변변한 자원이 없는 우리 경제는 오직 수출로 살 길을 찾아왔다. 이를테면 능력 있는 인간자원들의 수출벌이가 유일한 우리의 경제수단이었던 것이다. 지금처럼 저축률이 계속 떨어지면 우리의 경제사정은 더 이상 기대할 곳이 없다.

세계적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선진국들의 소비심리는 급격히 줄어들었지만 우리의 소비추세는 멈출 줄 몰랐다. 일부 상위계층의 과도한 소비성향 탓일 수도 있지만 경제가 성숙단계에 들어서면 저축률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전문가들의 진단도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급락세는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기현상임에는 틀림이 없다. 소득증가율이 경제성장률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사교육비, 주거비 등 아무리 줄일래야 줄일 수 없는 지출요인도 큰 원인 중 하나가 될 터이고 가계재무구조가 불안정하다는 것이 여실히 입증된 셈이다.

외환위기 이후 평등주의가 휩쓸고 지나갔다. 내 돈 내 맘대로 쓰자는데 웬 잔소리냐는 볼멘소리들이 나왔다. 엉뚱한 투기로 한몫 잡은 졸부들의 속성을 미워하면서 따라하는 묘한 행태들이 엉뚱한 소비성향으로 나타난 것이다. 소비의 평등주의는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가계저축률 하락은 가계부채 해결의 저하를 가져온다. 우리 경제의 뇌관은 누가 뭐래도 가계재무구조의 문제다. 따라서 지금까지 팽배해있는 과소비 외곡현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또한 가계저축률 향상을 위한 정부의 능동적 대처방안도 시급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