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귀하신 몸, 5만원 권의 의미

1973년에 1만 원 권이 발행됐다. 36년 전의 일이다. 지금까지 최고액 권으로써의 ‘만 원’은 돈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배추 잎’이라 불리면서 화폐의 상징으로 불려오던 만 원 권의 위용이 이제 사라질 운명에 처해있다. 5만 원 권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1만 원 권이 발행됐던 당시 환율은 25달러에 달했다. 쌀 여섯 가마니 값이었으니 정말 엄청난 고액권이었다. 그동안 국민소득이 150배 이상으로 늘어났고 물가도 10배 이상 올랐다. 현재 환율로는 10달러도 안 된다. 당연히 고액권 대접을 받을 수 없다. 코흘리개들 세뱃돈도 만 원짜리 한 장을 주면 시큰둥해할 정도로 그 위세가 폭락해 버렸다. 외국의 고액권에 비하면 아직도 한참은 뒤떨어져있지만 5만 원 권에 대한 화폐개념은 많이 변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새로운 선망의 대상으로 떠오른 5만 원 권이 발행되자마자 보기가 어렵다는 소식이다. 5만 원 권은 그동안 5490장이 공급됐다. 2조7454억이다. 국민 1인당 1장 꼴로 발행이 된 것이다. 그런데 백화점을 비롯한 시중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니 그 속사정이 궁금하다. 이런 기현상은 무엇보다 고액거래에는 신용카드사용이 보편화돼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설득력 있게 들린다. 따라서 5만 원 원이 몰리는 곳은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없는 특정한 곳에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경마장이나 카지노에서 5만 원 권이 집중 사용되고 있다니 입맛이 씁쓸해진다. 경기 과천의 농협 마사회 지점에는 5만 원 권이 넘쳐난다고 한다. 경마꾼들이 내놓은 것이다. 사용 전에는 주로 10만 원짜리 자기앞 수표를 사용했다고 한다. 이제 10만 원 수표발행에 드는 비용은 절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돈은 복과 화를 함께 불러들인다. 그래서 돈은 쓰는 사람과 용도에 따라 언제나 양날의 칼로 변할 수 있다.

아직 우리국민 대부분은 1만 원 권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카드 한 장이면 다 해결되는 세상이다. 고액권을 지갑에 넣고 다니는 것도 부담스럽고 거스름돈 교환도 성가신 일이기 때문이다. 점점 어려워지는 살림살이가 5만 원 권을 더욱 무겁고 무섭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돈 노름에만 편리해진 5만 원 권이라면 서민 경제의 측면에서는 어딘가 아쉬운 점을 감출 수 없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