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산업은 많은 젊은 고급인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다. 인재가 가장 인재답게 개인의 특기와 재능을 살릴 수 있기도 하다. 잘 키운 연구 개발 하나가 엄청난 수의 국민을 먹여 살릴 수 있는 것이 벤처 사업이다.
김대중 대통령은 벤처기업 육성만이 유일한 길이라며 벤처기업에 우선을 뒀다. 지난 1998년 2월 김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벤처기업은 새로운 세기의 꽃”이라며 “이를 적극 육성해 경제를 발전시키고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측 인사들은 기회 있을 때마다 벤처기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후 이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벤처기업은 외환위기로 침체된 경제를 살리는 활력소가 됐다. KT, 하나로텔레콤 등이 주도한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인프라가 벤처기업 성장의 발판 구실을 톡톡히 했다.
그러나 벤처광풍은 2000년 말부터 갑작스럽게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IT 버블이 꺼지며 주가가 폭락하자 빈약한 사업기반 위에 담보에 담보를 이어붙이는 등 재벌기업의 악습을 따라한 벤처기업이 무너졌다. 김대중 정권 말기의 이른바 ‘4대 게이트’가 벤처와 맞물리면서 충격은 더 컸다. 이같은 벤처의 실패요인으로 한국은 벤처기업 분야가 불모지였다는 점에서 찾는다. 또 벤처기업이 탄생될 수 있는 국가 사회의 바탕이 없었다는 점이다. 벤처기업에 대한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았고 또 관리능력도 없는 상황에서 정부는 돈만 풀었고 그 돈은 엉뚱한 곳으로 흘러갔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세월은 흘렀지만 벤처기업인들이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벤처기업인들이 모여 만든 경기벤처협회가 제 기능을 못하고 좌초위기에 놓여 있다는 지적은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본보 7일, 9일자 보도)
경기벤처협회 탄생 11년을 맞고 있지만 최근 협회는 회원사들로부터 제 구실을 하지 못한다는 반발을 사고 있으며 추진하는 사업들마저 부진의 늪에 빠져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협회를 운영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연회비 납부실적은 한심하기 그지없다. 3천200여개 회원 업체 중 불과 400여개 업체만이 회비를 납부하고 있어 협회 운영도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한 협회는 문을 닫아야 할 판이다. 이제라도 벤처기업에 대한 금과옥조를 가려 키울 기업은 키우고 도태될 기업은 과감한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한다. 거품을 거둬내는 일이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