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김동휘 선생의 수원사랑 사진사랑

지난 2002년 10월 8일부터 경기문화재단 전시실에서는 ‘인간가족전’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사진전이 열렸다.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에 위치한 등잔박물관 관장이자 사진작가인 김동휘씨가 세계 오지를 여행하면서 만난 수많은 이방인들의 얼굴사진 95점을 선보이는 자리였다. 이때 그의 나이는 84세였다.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생동감 있는 그의 사진은 인류의 나아갈 점을 제시해주었다는 평을 받았다.

7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지난 4월 정도대왕 즉위일에 개관한 수원 화성박물관에서는 17일부터 한달동안 ‘화성을 걷다, 화성을 보다’라는 제목의 특별한 사진전이 열리고 있다. 이곳에 가면 1950~60년대 당시 화성의 모습을 그대로 감상할 수 있다. 화성복원이 복격화 되기 전이기 때문에 무너지고 폭격에 맞아 훼손된 화성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수원 화성의 또다른 모습이다.

91세의 고령이 된 김동휘 선생이 젊은 시절 찍어 수원시에 기증해 놓은 1950~60년대 화성 옛 사진 86장 중 30여장이 공개된 것이다. 김 선생이 찍은 화성의 옛 사진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제작한 사진엽서, 독일인 헤르만 산더, 미 육군 엔지니어출신 게리 헬센의 작품과 어깨를 겨룬다. 화성 옛사진은 국내인으로는 김 선생이 유일하게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는 것이다.

김 선생의 화성 사랑은 남다르다. 그는 “문화재는 보수관리하지 않으면 부숴지게 돼 있다”며 “그러나 일제가 그런 식으로 화성을 훼손했다면 성벽을 허물어 부뚜막 돌로 사용한 우리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외국의 성들이 웅장할지 몰라도 성곽의 색깔은 화성이 단연 최고"라며 "성벽의 무수한 돌에서 뿜어져 나오는 빛깔이 너무 아름답다”고 했다.

김 선생은 1918년 수원 화성행궁 앞 종로의 잡화상 집 아들로 태어났다. 수원사람은 그를 산부인과 의사로 더 잘 알고 있다. 세브란스 의대를 졸업하고 수원에서 산부인과를 개업한 그는 한국전쟁 중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카메라를 접한 뒤 청진기보다 카메라를 더 가까이하며 문화예술 활동에 열정을 쏟았다.

김 선생은 수원문화원 창립 주역으로 한국예총 경기지부장을 역임했고 1989년 화성행궁 복원추진위원회를 결성해 2003년 행궁 576칸 중 482칸이 복원되는 토대를 놓았다. 그는 2004년 수원예총 수원지부가 선정한 수원예술인 100인에 선정되었다.

그는 수원이 잊어서는 안되는 사원의 산증인이다. 사진이 역사를 기록하는 더할나위 없는 도구라는 것을 새삼 생각케 한다. 그의 수원사랑 사진사랑에 박수를 보낸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