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은 임금님도 구제를 못 한다고 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그것이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경제적인 빈곤층의 문제만이 아닌 세상이 됐다. 사회안전망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빈곤층이란 중위소득층에 비해 50% 미만인 계층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꾸준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2000년 이후 빈곤층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니계수는 OECD 평균수준과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빈부의 격차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상위 10%의 소득이 하위 50% 빈곤층의 계수를 함께 덮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통계수치의 허점을 알면서도 인정할 수밖에 없다.
1998년의 IMF환란에 이어 10년 만에 세계적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어쩔 수 없는 일이라 여겨졌다. 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직, 그리고 가계의 위축과 함께 중산층이 점점 축소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그러면서도 대부분의 국민들은 ‘아직은 나도 중산층’이라는 착각에 사로잡혀 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각종 국가시책을 발표하고 가난구제를 위한 직접 동기마련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그러나 정부의 힘만으로 진행되는 정책적 대응에는 무리가 따르게 마련이다. 단순히 소외계층에 대한 복지정책을 확대한다고 해서 무너진 서민경제가 살아날 수는 없다. 이처럼 복합적인 사회·경제적 문제는 국가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또 한 번 증명된 셈이다.
우리나라는 오직 인적자원으로 먹고 살아야 하는 나라다. 광활한 영토도 뛰어난 자원도 없다. 오직 선진기술을 개발해서 해외장사를 잘하는 것 외에는 자구책이 없는 형편이다. 가난구제 기능을 나라에만 맡겨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경영윤리차원에서 기부와 자원봉사 등의 사회적 책임을 활성화해야 한다. 궁극적으로야 시민사회의 전반적인 자발적 참여가 전제되어야하지만 앞장서 나설 곳은 결국 돈 많은 기업들이라는 것이다. 기업과 시민사회가 자발적 봉사라는 큰 뜻을 실천하려면 무너져가는 공동체 문화를 새로이 형성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새 생활문화가 시민사회의 핵심적인 역할이 돼야한다.
마침 수원시에서 아이낳기 좋은세상 경제운동본부가 출범한다는 소식이다. 저출산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지자체와 사회단체 등이 공동 참여하는 이러한 범시민 봉사단체가 활성화돼야 한다. 그래서 국가와 기업시민사회가 함께 손잡는 사회적 기업운동과 함께 자발적 봉사운동이 생활화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