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4대강사업 역사문화와 함께 가야한다

4대강 정비사업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강을 살리기 위한 4대강사업의 결과물을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다. 정비사업의 본질 외에 다른 곳에서의 부작용이 만만치 않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4월 정부의 4대강사업 마스터플랜에는 밝혀지지 않은 환경문제와 문화재 조사 등에서 혼선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하백지화 국민행동이라는 시민단체에서 문화재청이 실시한 문화재 지표조사를 다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4대강사업의 문화재 지표조사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육상지표조사 외에 수중지표조사를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돼있다. 또한 4대강사업으로 파괴되는 문화유산은 한강유역, 즉 경기도지역이 유난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강천보건설이 한창인 여주군 강천면 이호리 제방공사에도 이 같은 현상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갈대와 버드나무군락지역인 자연 습지가 사라지게 된다는 주장이다.

청계천 복원 때의 조사기간은 41일이었다. 거리는 5.841㎞ 인 반면 1243㎞에 이르는 4대강 유적조사는 불과 4개월 만에 이루어졌다. 축소발굴이라는 지적이 나온 이유다. 6㎞에 41일이면 1240㎞에는 얼마나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것인가 따지지 않아도 쉽게 처리한 흔적이 보인다. 이 같은 서로의 입장표명이 다른 것은 무슨 까닭일까? 건설토목공사의 시각으로 역사와 문화를 다룬다는 졸속행정이 개입된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길이 없다. 실제조사인원도 적고 기간도 너무나 짧다. 더구나 모든 조사가 문헌과 육안조사로 진행되고 있는 형편이고 보면 이 같은 부실조사 의견은 쉽게 멎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4대강 인근 500개 이내 지역 유물조사지역은 대략 500여 곳으로 알려졌다. 4대강 살리기 문화재지표조사 보고서 기록이다. 그러나 공사를 진행 중인 문화재청의 주장은 육상 225곳과 27곳의 수중조사지역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가 조사구역을 축소하려한다는 의구심이 전혀 낯설지 않은 것이다.

낙동강에 서울 100개의 보 중 11m가 넘는 대형보가 8개라고 한다. 또 4대강 전체 준설 량의 70%이상이 낙동강에서 이루어질 것이란 진단이다. 그러려면 자연히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해야 할 것이고 자연경관은 여지없이 훼손된 것이 자명한 일이다. 문화재유지보존은 고사하고 우선 현재 진행 중인 자연경관을 해치는 일은 삼가야 한다.

우리나라 하천 유적층에 있는 많은 유적과 유물을 어떻게 보존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기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