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감사실이 14일과 22일 발표한 경기도 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등 9개 산하기관, 농업기술원 등 직속기관 및 사업소 8개 기관에 대한 기관운영 감사 결과는 공공기관이 아닌 ‘공공의 적’이라는 표현이 알맞은 표현인것 같다. 특히 국가권익위원회의 부패방지시책 평가에서 2년 연속 청렴도 부문에서 전국 ‘꼴찌’의 불명예를 얻었던 도가 올해 종합우수기관으로 선정된 이후 ‘환골탈태’라는 평가를 받은 터 이어서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공공기관의 방만경영에 대한 지적이 어제오늘 일도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번에도 거듭 확인된 일부의 행태는 탈선이자 방탕 그 자체임을 재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 탈선·방탕을 방치해온 기관 차원의 책임도 마찬가지 비중이라는 것이 우리 판단이다.
도 감사실이 지난 5월11일부터 29일까지 산하 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단기간 종합감사에서 82건의 부정사례를 적발, 연루된 54명(징계 7명, 훈계 47명)에 대해 징계와 함께 재정적 손실에 대한 추징 및 회수를 해당 기관에 지시했다.
또 도 감사실은 지난 4월 6일부터 5월 1일까지 농업기술원과 보건환경연구원 등 직속기관 2곳과 축산위생연구소 등 사업소 6곳을 대상으로 종합감사를 실시, 62건의 지적사항을 적발해 이와 연루된 57명(징계 5명·훈계 52명)에 대한 신분상 불이익과 함께 재정적 손실 3천582만6천원을 회수하거나 추징하도록 해당 기관에 지시했다.
이들은 한결같이 보조금을 횡령하거나 재직하지도 않은 직원을 승급시키는 등의 비리로 적발돼 공공기관들이 감독기관의 관리감독 소홀을 틈타 저지른 고의적인 상습 부정행위로 나타나고 있다. 한마디로 그 직원들, 그 기관들이다. 뿐만 아니라 부정행위의 유형은 관련자들의 묵시적인 형태 또는 관행적으로 이뤄지는 경우도 있어 보다 철저한 감시기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계속되고 있다.
이같은 사례들이 근절되고 부정행위를 막기 위한 철저한 대책과 지속적인 관리감독을 통해 산하기관, 감사관 모두 한단계 도약하는 길을 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