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의 명칭이나 사람의 이름은 한번 정해지면 고치기 어려운 법이다. 꼭 고쳐야 할 경우 합당한 명분은 물론 복잡한 절차와 과정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요즘 오산시는 경부선 전철1호선이 통과하는 병점차량사업소(병점철도기지창)에 신설될 역사(驛舍) 명칭과 미흡한 기반시설을 빗대 갑론을박(본보 9, 14, 21일자 보도)하며 어수선하다.
한국철도공사 등 당국이 병점차량사업소에 짓는 역명 제정을 놓고 오산시와 화성시의 눈치를 보며 저울질하는 분위기가 포착된 것이다.
이에 오산시의회와 민간단체가 즉각 반기를 들고 ‘삼미역’ 명명을 주장하며 중앙부처 항의방문과 함께 관철을 촉구하고 나섰다. 손에 손 잡고 ‘삼미역 역명지정 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 윤한섭·윤세구)를 발족한 뒤 결의문 채택과 여기저기 발품을 팔며 동분서주하고 있다.
추진위는 “당국이 철도건설사업시행지침(국토해양부 고시)과 철도역명 및 노선명 관리운영(한국철도공사 규정)을 무시하고 있다”며“신설될 역사는 향후 수년내 5만명이 입주하는 세교택지1지구 등과 500m 거리와 서울대병원 건립이 예정된 인접지인 만큼 당연히 ‘삼미역’으로 명명돼야 한다”고 압박수위를 높이고 있다.
병점차량사업소에 역사가 건립되는 외삼미동은 예부터 송미(松‘소나무’美),오미(梧‘오동나무’美),죽미(竹‘대나무’美) 등 자연의 아름다움이 어우러진 의미를 지녀 삼미(三美)로 불리고 있다.
신설되는 역사를 기점으로 오산시 외삼미동과 화성시 동탄면이 맞붙어 있다. 오산시는 “내 땅에 주소를 둔 역사가 들어서고 삼미지역으로 불리는 만큼 ‘삼미역’ 명명이 당연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화성시는 “역사가 건립되면 인근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전철 이용율이 커 화성지명으로 명명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전인수(我田引水)격으로 양 지방자치단체가 역사명칭 제정을 놓고 신경전이 날카롭다. 보편적으로 어떤 지명이나 시설명칭은 역사,유래,수요 등을 따져 결정된다.
이해관계가 얽히지 않은 역명이 탄생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