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나 경제력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수도권으로의 쏠림현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전방위로 위세를 떨치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분산 책들은 점점 더 희미해지고 이제는 이에 대한 새로운 정책개발에도 지쳐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경제규모가 우리경제 전체의 50%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산업과 민간소비를 반영하면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커진다. 여기에 문화예술분야의 지원을 보면 그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정부지원을 보면 이 같은 현상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2008년 문예지원 사업 지역별지원 현황에 나타난 지원 액수는 수도권에 81%가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문화예술인 전체인원 11명 가운데 지역의 몫으로 활동하는 위원이 단 1명뿐이다. 문화·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도 대부분 서울에 집중돼 있다. 예총회원의 82.3%가 수도권지역 회원들이란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처럼 경제 분야는 물론 문화예술 분야에도 특별한 집중현상을 보이고 있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지역문화의 근본적인 현실이자 가장 큰 문제는 역시 ‘돈’이다.
어느 지역에서 건 이를 둘러 싼 잡음이 무성하다. 중앙(서울)의 예술권력기관에 줄을 대서 얼만 큼의 예산을 확보해 왔느냐가 유능한 지역문화예술 활동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오직 서울에서 공연을 하고 전시를 해야 전국적인 예술가로 평가받는 세상이니 서울로의 집중현상을 나무랄 수도 없다.
정부의 예산편성조차 수도권으로 집중될 수밖에 없는 현상을 대변하자면 이렇다. 서울의 문화를 살찌워 지방으로 흘러내려가도록 하겠다는 정책이 살아있는 한 수도권 쏠림 현상은 극복하기 어려운 최대의 난관으로 상존하게 될 것이다. 인구비율도 절반이요, 경제력도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의 문화예산이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물이라 할 수도 있다.
오늘날 지방민 절대 대다수는 자기지역에 문화산업이 꽃을 피워 경제적 효과를 내주길 기대하고 있다. 고급문화건 대중문화건 서울시민들처럼 향유할 수 있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러한 기대와 갈망을 잘못된 것이라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서로 다른 수도권문화와 지방문화가 융합할 수 있는 문화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곧 문화예산의 형평성을 마련하는 길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