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6월 29일 전국적으로 약학대학 정원 390명을 증원 결정하면서 지역별 소재 대학간 약대 유치전이 뜨겁다. 인천도 50명 정원을 배정 받으면서 대학간 약대설립에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약대 정원 50명은 1개 대학이 약대를 신설할 수 있는 규모로 연세대의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인하대, 인천대, 가천의과학대 등 4개 대학이 약대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역 언론에 대학간 안배보다는 경쟁력을 우선시 하여 특정대학이 유리하다는 보도가 있으면서 약학대 설립을 희망하는 지역소재 대학은 점차 설자리를 잃어간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애초 약대 증원을 결정하면서 약사 배출만이 초점이 아니라면서 제약사업을 우리나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전문 연구 인력을 대학에서 양성, 배출해야 한다면서 신설 약대가 제약사업 및 학문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대학들은 약대설립의 유리한 조건으로 생명과학과 생명공학, 의학을 연결해 주는 응용학문 분야와 유사 관련 학과의 개설, 그리고 신약개발 연구소 등의 시설확보를 꼽고 있다.
벌써부터 수도권 대형 대학이 유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일부대학이 신설을 희망하고 있지만, 가능성을 타진한 뒤 신청서 제출을 포기하는 대학도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역소재 대학들은 서울의 대학이 인천에 배정된 인원을 가로채려한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그 동안 많은 의료기반 시설을 갖추고 지역의 의료보건 발전을 위해 수년간 노력 해온 지역 대학이 외면당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지역정서를 감안하거나 지역의 정주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소재 대학을 배려하자는 여론이 들끊고 있다.
정부는 서울소재 대학에 일체의 인원을 배정하지 않았으며 거기에는 서울의 약사 공급과잉이 고려되어 있다. 그런데도 서울소재 대학이 단과대학의 송도이전 기피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천의 약대배정 인원을 노린다는 것은 원칙과 상식을 벗어난 접근 방식이다.
그런데도 서울소재 대학을 지원한다는 소식이 들리니 진상을 밝히라고 요구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약대 신설의 키는 교육과학부가 전권을 쥐고 있다, 오는 8월 대학별 신청을 받아 올해 12월경 결정할 것이라고 한다.
어떻게 되었던 지역의 정서를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형평성 있는 결정이 내려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