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엽 성남시장과 김황식 하남시장은 19일 성남시청에서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양시가 통합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두 시장은 당초 성남·하남·광주 3시 통합을 추진했지만, 광주시의 내부 사정 때문에 나중에 통합하기로 했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아울러 통합 협의는 몇 차례의 회동을 거쳐 결론을 내린 것으로 즉흥적 선택이 아니다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날 통합 발표는 쥐도 새도 모르게 진행된 내밀(內密)의 결과물이라는 점 하나만으로도 충격적이었다. 관례대로라면 해당 시의회, 지역 국회의원, 시민단체 등과의 협의를 거치거나 최소한의 시민 의견을 수렴한 뒤에 공론화하는 것이 상식인데 이번 경우는 그런 절차가 생략됐다. 그래서 찬밥 신세가 된 일부에서 비판 여론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나 협의 과정에 음밀한 별도의 약속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진 이상 지난 일을 따지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다. 성남시와 하남시가 통합하면 인구 110만 명, 총자산이 20조 원에 달하고, 훗날 광주시까지 통합된다면 수도권에서 주목받는 대도시가 될 수 있다. 정부는 시·군이 자율 통합을 할 경우 정부 사업 우선 선정, 국고보조금 지급 등 엄청난 인센티브를 약속하고 있다. 올망졸망한 도시끼리 힘겹게 사는 것보다는 통합하는 쪽이 시너지 효과가 있고 시민 생활의 질적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통합론자들의 주장이다.
물론 반대 의견도 없지는 않다. 특히 정치권이 과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소선거구제가 중·대선거구제로 바뀌면 설 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러나 행정구역 개편과 선거제도 개혁은 더 이상 미룰 사안이 아니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성남시와 하남시의 전격적인 통합 발표는 설(說)만 무성하고 진척이 없는 다른 시·군의 통합 논의에 불을 지피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 경기도의 경우 수원·오산·화성, 군포·의왕·안양, 동두천·의정부·양주, 구리·남양주 등이 통합을 추진 중이고, 경남, 전남북, 충남북 등까지 합치면 30여 개 시·군이 통합을 저울질 하고 있다. 큰 것을 작게 쪼개는 것이 쉽지 않듯이, 작은 것을 하나로 묶는 것도 결코 용이한 일은 아닐 것이다.
이제 선택은 성남과 하남시민의 몫이 됐다. 백년이 아니라 천년을 내다 보는 선택인 만큼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거듭 강조하지만 현재의 행정체계와 선거제도로는 선진국이 될 수 없다는 점 유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