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는 복잡한 도시공간 속에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는 허파의 역할을 해왔다. 그린벨트가 구획된 이후 수도권의 많은 도시들이 팽창을 거듭했어도 도시를 둘러싼 푸른띠에서 생성되는 맑은 공기는 도시민들을 흡족하게 해주고도 남음이 있었다.
그린벨트를 풀어 서민들을 위한 보금자리주택을 건설한다는 정부의 발표가 있자 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그린벨트 해제로 보금자리주택 공급이 늘어나면 서민들에게 내집 마련의 기회가 많아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그동안 묶여 있던 인근 지역의 집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부정적인 견해도 많다.
특히 경기도내 일부 그린벨트 지역에서는 벌써부터 각종 불법 건축물과 투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더구나 정부가 그린벨트의 토지매입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점을 대상지 선정의 기준으로 삼고 있지만 벌써부터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들썩이면서 서민들이 기대한 만큼의 낮은 분양가 공급이 어렵지 않겠느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우선 찬성론자들은 그린벨트 해제로 보금자리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은 높은 부동산 값으로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잃고 있는 서민들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다. 최근 다시 높아지고 있는 전셋값 상승은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공공주택 공급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그린벨트 해제는 인근 지역의 땅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최근 부동산 시장이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면서 그린벨트 해제는 인근 지역뿐 아니라 수도권 전체 부동산 시장을 자극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린벨트 해제가 유력한 경기 북부지역 지자체들은 떨떠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린벨트 추가 해제가 유력한 시·군은 고양시와 남양주시로, 두 시·군은 모두 그린벨트 면적이 시(市) 전체면적의 40∼5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지자체는 보금자리주택이 건설되면 도시기반시설 부족과 베드타운 전락, 주택가격에 악영향 등을 우려하며 그린벨트 추가 해제에 달갑지 않은 입장이다.
지난 1971년 그린벨트가 처음 구획된지 38년이 지난 지금 일부기는 하지만 해제의 위기에 몰리고 있다. 자연은 한번 훼손되면 복구하는데 자금과 시간이 엄청나게 소요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