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지역 토착세력들이 행정기관과의 연줄을 이용해 정보를 빼내고 그 정보를 통해 상당한 이익이 보장되었다면 이는 심각한 지방자치의 역주행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토착세력과 행정기관과의 밀착관계가 사실로 확인되면 이는 실패한 민선시대의 표본으로 기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전면적인 수사를 통해 사실관계를 명명백백히 가려야 한다.
이러한 일들이 용인시에서 벌어지고 있다. 이미 지난 2004년부터 용인 역북도시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수많은 용인지역 토착세력들이 정보를 입수해 개발지역 인근지역의 땅을 사들여 많게는 수십억원대의 개발이익이 예상된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용인지역 주민들이 크게 분노하고 있다.(본보 8월 17일·24일자)
용인시 산하기관인 용인지방공사는 지난 2004년 10월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일대 6만㎡를 용인 역북도시개발사업 지구로 지정해 줄 것을 시에 제안했으며 같은해 3월15일 이 사업과 관련해 주민 공람이 공고됐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시의회 의장까지 역임한 J시의원 일가족과 지역언론사 대표 등 용인지역 주요인사들이 사업 예정부지 인근 지역 부동산을 대거 매입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J시의원 4형제 가운데 맏형 명의로 땅을 구입하기는 했지만 J시의원은 구입당시 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직을 역임하였고 J시의원의 또다른 형제는 당시 용인시의 간부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그래서 J시의원 형제들이 그 직을 이용해 용인시의 개발정보를 미리 알수 있었던 것이 아니냐 하는 의혹을 사고 있는 것이다.
이곳에서 땅을 구입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 용인지역 언론사 대표인 K씨의 경우도 언론사를 운영하면서 알게 된 각종 개발정보를 이용해 땅을 구입한 것이 아니냐는 눈초리를 받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지역언론사 회장을 지낸 세무사 출신의 K씨는 사업시행자인 용인지방공사 설립당시부터 2006년 9월 5일까지 사외이사를 지내면서 퇴임 2달여전 역북지구내 토지를 대규모 매입한 것으로 본지 취재결과 추가로 확인된 사실은 용인지역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용인지방공사는 물론 감독관청인 용인시도 그 책임을 벗어날 수 없게 됐다.
용인시는 뒤늦게 감사에 착수했다고 한다. 그러나 시의 감사는 공무원들의 연루여부에 대한 확인작업에 불과하다. 만일 보도대로 지역 토착세력들이 직을 이용하거나 공무원들이 제공해주는 정보를 이용해 땅투기를 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이는 용인지역 개발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수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점 의혹없이 밝혀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