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는 이용이 편리한 부설주차장을 위한 행정력 집중해 나가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3월2일자로 3개 구청 건축과가 폐지되고 시 본청과 부설주차장팀이 신설 통합되어 총 1만3천여 개소, 18만 5천면을 전담하는 등 조직개편을 마친 바 있다.
시에 따르면 시는 그간 부설주차장의 효율적 이용과 주차난 해소를 위해 관리계획 방안을 마련하고 5천656개소(8만1천326면)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 점검 및 대형판매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한 결과, 주차 이외의 용도로 전용되거나 불필요한 방해시설물을 설치한 주차장을 113개소 적발하여 61개소를 원상회복 조치했다. 이중 14건을 사법기관에 조치하고 4개소 2천535만원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는 등 90% 이상의 정상가동 실적을 올렸다.
특히 영업수익 만을 고려하여 심한 저항과 마찰을 줄이기 위해 점검기간과 점검공무원을 미리 문서로 알려주는 지도점검 사전예고제를 시행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부설주차장 이용안내문을 각 주민자치센터에 게시함은 물론 해당 부설주차장 관리인에게도 직접 우편으로 발송하여 위법행위를 입주민 스스로 예방할 수 있도록 계도함으로써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주민 호응도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청별 부설주차장 안내표지판의 디자인과 형태가 달라 도시의 미관을 저해시킨 점을 고려, 디자인 통일화 방안에 따른 부천시 BICI를 이용 산뜻하고 보기좋은 안내표지판으로 새롭게 변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시 관계자는 “건축물 부설주차장의 제몫 찾기 운동을 집중 펼친 결실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올 연말까지 전 행정력을 집주하여 전체주차장의 70%인 5천개소 이상을 추가로 지도점검 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