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경기도와 인천시 곳곳에서 행정구역 통합논의가 뜨겁게 펼쳐지고 있다. 성남시와 광주시, 하남시의 통합 논의에 이어 인천시 서구.계양구, 강화군과 경기도 김포시의 ‘4개 시·구·군 행정구역 통합’ 논의가 시작됐다. 시흥시와 안산시에서도 통합문제가 수면위로 부상했다. 광명시도 서울시의 인근 구와 통합할 생각이 있는 모양이다. 수원시와 화성시, 오산시도 최근 통합논의가 표면화되고 있는 중이다.
최근의 이 같은 통합논의는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를 통해 행정구역 개편의지를 밝힌 데 이어 행정안전부가 자율통합 자치단체에 대한 지원대책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즉 정부가 내년 7월까지 통합자치단체로 출범하는 시·군·구에 50억원씩의 특별교부세를 주고, 통합 이전에 받던 교부세액을 5년간 유지하며, 통합자치단체의 1년치 교부세액의 60%를 10년간 나눠주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키로 한 까닭이다. 통합지역 공무원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10년간 공무원 정원을 현행대로 유지키로 한 것도 통합논의를 활성화시키고 있는 요인이다.
최근 지역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수원.화성.오산시 행정구역 통합논의에 대해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과 화성, 오산은 옛날부터 하나의 역사와 문화를 지닌 같은 지역이었으며 강한 동근의식(同根意識)이 형성돼 있다”면서 “최첨단 IT산업단지 조성, 첨단 의료복합단지 조성, 관광문화산업단지 연계, 종합운동장, 연화장, 쓰레기 소각장, 문화의 전당 등의 공유로 인해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통합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는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 시킬 것”이라고 자신한다. 세도시가 통합되면 면적은 서울보다 넓어지고, 인구도 160만 명이 넘는 수도권 거대 도시로 부상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화성시의 반응은 그리 호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지자체간의 복잡한 이해관계 때문이다. 통합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려면 각자의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하고 특히 해당 지역 국회·지방의원들을 비롯, 지역을 대표하는 각 협회·단체장 등 이른바 기득권층을 먼저 설득해야 한다. 논의과정에서 세부적인 사안을 놓고 마찰을 빚게 될 가능성도 크다. 그래서 무엇보다 다양한 주민 여론 수용이 선행돼야 한다. 주민들이 고개를 끄덕일만한 로드맵도 작성돼야 한다. 행정구역 통합은 분명히 지역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나 그로인해 갈등이 생겨나지 않도록 주민의사를 충분히 반영해 추진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