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조가 민주노총 탈퇴를 결의했다. 민노총 탈퇴 찬성과 반대를 묻는 투표에는 조합원 3508명이 참가, 2642명이 투표(75.3%)한 결과 1931명이 찬성표(73.1%)를 던졌고, 반대는 264명(9.9%)에 불과했다. 또 이달 말 임기가 만료되는 차기 집행부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안도 78.6%의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이로써 쌍용차 노조는 국내 완성차 노조로서는 상급 단체가 없는 개별 독립노조로 바뀌게 됐다.
이번 투표 결과는 두가지 면에서 주목할 점이 있다. 하나는 지난 77일간의 극렬 파업에 대한 노조원의 평가가 부정적으로 표출되었다는 점이다. 직장은 생존을 위한 일터로서 기업과 노동자의 공생공존이 전제돼야 옳은데 민노총 지도부는 기업을 배려하지 않고 정치공세만 펼쳤다는 것이 투표 결과로 나타났다. 노조는 때로 강력한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 그러나 법치주의를 무시할 권리는 없다. 둘째 강경 파업이 과연 이 시대가 요구하는 노동조합 존재 이유에 합당한가에 대한 조합원들의 비판과 자성이 노골화되었다는 점이다.
민노총 탈퇴에 찬성한 73.1%의 조합원들은 민노총식의 노동운동으로는 근로자도, 노조도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고심 끝의 ‘한표’로 대변했다. 노조 집행부와 민노총은 절차상 문제가 있었다며 총회 무효소송을 제기할 뜻을 밝히고 있다. 소송 제기 여부는 그들의 몫이지만 이번 투표 때 반 민노총을 선택한 조합원들의 마음을 돌려 놓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조합원 3만명의 KT노조, 인천지하철 노조, 영진약품 노조 등 18개 노조가 이미 민노총을 탈퇴했다. 이 자체만으로도 민노총은 조직 기반에 위협이 되고 있었는데 강성 노조로 이름났던 쌍용차 노조마저 탈퇴했으니 민노총으로서는 충격이 클 수밖에 없다. 특히 현대자동차와 기아차 등 완성차 노조가 쌍용차 노조의 민노총 탈퇴에 어떤 영향을 받을지도 관심거리다. 만약 현대, 기아차 노조가 쌍용차 노조에 동조한다면 민노총과 금속노조는 자멸의 위기에 빠질지도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1995년에 출범한 민노총으로서는 14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은 셈이다.
이번 쌍용차 노조의 민노총 탈퇴를 모든 노동계는 자성과 함께 새로운 진로 설정의 계기로 살았으면 한다. 파업이 부절한 기업에 누가 투자하겠는가. 전쟁을 방불케하는 파업을 하면서 공생공존 하자는 것은 말장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득보다 실이 많은 정치파업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