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1일부터 저소득층의 생계 지원을 위한 일자리 사업의 핵심인 ‘희망근로’ 사업이 일제히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미 지난 5월 11일부터 전국 246개 지자체를 통해 참여 대상자를 모집해 일자리 사업은 시작되었다. 6개월 동안 한시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고 월 83만원(교통비 등 1일 3천원 별도) 정도의 임금을 지급하는 정부 일자리 사업으로, 임금의 일부를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으로 지급될 예정이고, 이는 희망근로사업이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과 생계지원 뿐만 아니라 정부지출이 소비로 이어져 지역 영세상인의 소득증대를 도모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다는 목적이 있다.
희망근로사업의 주요 내용은 전국 백두대간 환경정비사업, 재해위험지구 일제정비사업, 주거환경 취약지역 ‘동네마당’ 조성사업, 자전거 이용시설 확충, 학교주변 안전시설 정비 등 ‘전국공통 20개 생산적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희망근로사업은 도시의 일자를 찾지 못하는 저소득층에게는 보배와도 같은 존재였다. 일을 하면 부족하지만 생활비가 보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기도내 희망근로사업 참여자 중 지난달 말까지 사망 7명을 포함, 모두 326명이 숨지거나 부상당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지난 7월 8일 고양시에서 희망근로사업에 참여한 60대 남성이 도로변 청소 작업을 하다 교통사고로 숨졌다. 같은 달 21일과 22일에도 구리와 양평에서 60대 희망근로자 3명이 물탱크 청소작업과 경운기 운전 중 각각 사망했다.
도는 희망근로사업 참여자 가운데 고령자가 많은 데다 지병 유무를 파악하기 어렵고 작업도 미숙해 부상자가 많다고 설명했다. 5천1백30여개 사업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내 희망근로사업에는 5만3천600여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42%가 60대 이상의 고령자이다. 도는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교육과 작업 현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특히 고령 근로자들의 건강을 철저히 관리할 것을 각 시·군에 당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