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을 살리겠다는 목적으로 도입된 ‘온누리 상품권’이 발행을 시작한지 두 달 남짓 지났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싸늘하다못해 무심하다. 중소기업청 주도로 전국에서 통용 가능하게 만들어진 온누리 상품권은 전통시장 활성화의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온누리 상품권이 이달 초까지 도내에서 판매된 실적은 불과 8천만원 정도로 부진한 모습이다. 판매처인 새마을 금고가 도내 총 101개 본점에서 판매를 진행 중인 것을 계산하면 1개 금고당 80만원이 채 되지 못하는 금액이다.
이러한 부진은 인센티브제 부재 등과 같은 기존 상품권과의 차별성 문제뿐 아니라 판매처인 새마을금고 내·외부에 홍보 포스터는 물론 판매를 하고 있다는 안내문구 조차 제대로 없는 무성의한 운영이 지적된다. 최근 중기청 등이 본격적으로 시민들을 대상으로 거리 활동을 펼치며 소비자들에게 온누리 상품권에 대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새마을금고가 판매처인지 조차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몇 안되는 판매처를 굳이 찾아 올 지 의문이다.
안일한 운영으로 판매에 진전을 보지 못했던 온누리 상품권이 최근 부진을 만회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
바로 민족의 명절 추석을 맞아 도내 기업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요구할 빌미가 생긴 것이다. 연말까지 도내에 할당된 온누리 상품권 목표액은 총 10억원 규모로, 중기청과 새마음 금고 등은 다음달 예정된 추석을 기회로 이러한 목표치를 채울 기세다.
현재 도내 S전자를 비롯해 도 산하기관 및 기업 유관기관들을 대상으로 이미 온누리 상품권에 대한 구매협조를 요구받은 것으로 알려졌고 몇몇 기관들은 적게는 수백만 원에서 1억원 내외 규모로 ‘자의반 타의반’으로 구매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파악된다.
새마을금고, 중기청 등은 기업과 관련 유관기관들에게 온누리 상품권을 강매 아닌 강매를 또다시 벌이고 있다. 시민들의 혈세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통시장 상품권이 시민에게 무시받는 이유를 관련 기관들은 더이상 간과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