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은 전국 기초 지방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인구 107만 명을 확보한 큰 도시로서 화성문화예술축제와 화성국제연극제 등 음악, 무용, 연극과 같은 공연예술에 관련된 여러 가지 커다란 행사를 치르고 있다. 더불어 나혜석이라는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를 배출한 고장으로 문화적으로도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외향적으로 비춰지는 도시의 발전규모에 비해, 그 도시의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시설인 ‘미술문화 공간’은 여전히 적다. 수원미술전시관과 수원청소년문화센터, 장안구민회관의 전시관 그리고 몇 개의 대안공간 뿐이다. 수원시에 소재한 ‘경기도문화의전당의 대·소전시실’이나 ‘경기문화재단 내 전시공간’도 수원의 미술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문화시설이라고 하기에는 그 규모나 활동실적이 미미한 형편이다.
물론 전시공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수원미술전시관을 제외하고는 상설전시가 전무하고 인지도도 약한 편이기 때문이다. 수원미술전시관 또한 수원시의 지원금에 의한 1년 중 두 번의 ‘기획전시’를 제외하고는 대관전시가 대부분으로 그 규모가 열악한 형편이다.
이에 비해 같은 경기도 권역의 안산시는 ‘경기도미술관’, 용인시는 ‘백남준미술관’을 유치했다. 더욱이 부산과 광주, 대전은 시립미술관을 건립하고 학예실을 정비해 자체적인 지역미술을 꽃피울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그렇다면 수원의 미술관 건립은 무엇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 것인가. 우선 이미 기존에 지어진 건축물의 리노베이션이나 공공건물의 개조는 필수적으로 고려해보아야 할 사항이다. 수원에서 미술관을 건립한다면 대중들에게 익숙한 기존의 건물을 문화공간으로 재사용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만약 여의치 않다면 이미 문화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원미술전시관’ 같은 건축물의 리모델링도 고려해볼만 하다. 수원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를 제공하며 진정한 문화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아울러 고부가적인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립미술관의 건립을 이제는 수원시에서 추진해야할 때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