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 개편문제로 구리지역 주민들이 갈등의 늪에 빠졌다. 찬성과 반대가 명확하게 엇갈리면서 점차 감정대립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섣부른 행정구역 통합추진이 주민갈등의 산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구리시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는 유권자의 70%에 이르는 10만여 명의 주민들로부터 통합반대 서명을 받았다. 이들은 최근 행정안전부를 방문, “유권자의 절반이 넘는 주민들이 통합에 반대하고 있으니 통합논의를 중단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구리지킴이는 주민 3천76명의 서명을 받아 구리시에 자율통합제안서를 내놓고 있다.
또 구리시 바로 세우기 시민연대는 행정안전부를 상대로 조만간 공익감사청구서를 내기로 했다.
이밖에 JCI구리청년회의소는 ‘주민투표에 의한 자율통합’을 주장하며, 구리시민단체들에게 토론회를 제안했다.
이처럼 행정구역개편 문제를 놓고 시민단체들이 서로 다른 주장을 펴고 있다. 이런 와중에 모 산악회 A회장은 최근 발신지를 알 수 없는 사람으로부터 협박성 문자를 받았다.
A씨는 “휴대폰에 ‘밤 길 조심하라’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가 날아 왔다”며 “보복이 두려워 경찰에 연락도 하지 못했다”고 하소연 했다.
공직사회도 찬반 갈등을 겪고 있다. ‘남양주시는 공무원을 총 동원해 자율통합을 밀어부치고 있다’,
‘구리시 동장들은 반대 서명을 강요하고 있다’는 등 각종 소문이 파다하다. 이에 앞서 경기도는 “통합대상 지역과 지역, 주민과 주민사이에 갈등의 폭이 점점 커지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갈등의 골은 점점 더 깊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졸속 통합이 낳을 사회적 부작용을 예상했던 것이다. 경기도의 지적이 지금 구리-남양주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네편, 내편 서로 갈라서며 이전투구 중이다.
이대로는 안 된다.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합형 통합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