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경기도교육청의 국정감사가 피감기관의 주요업무보고도 받지 못한채 파행으로 끝났다.
이날 국감 파행은 여·야간의 증인 채택문제로 비롯됐다.
특히 야당은 경기도의 교육국 설치를 놓고 “김문수 도지사의 증인출석” 요청, 여당은 “야당이 김상곤 교육감을 감싸기 위해 계획된 국감 파행 운영”이라며 서로 맹공을 퍼부었다.
그러나 30분 늦게 시작한 국감도 의원들간 의사진행발언만을 1시간 25분쯤 주고 받은 뒤 11시45분쯤 시간을 정하지 않은채 정회했다.
국감 재개를 위해 교과위 위원장과 여·야 간사간에 3차례 협의를 가졌으나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
1차 여·야 간사협의에서 야당 간사는 “여당 간사가 김문수 도지사와 친분이 돈돈하지 않냐며 김 지사의 증인출석 독려”를 당부했고, 여당 간사는 “국감 당일 김 지사를 출석하라는 야당의 주장은 이치에 맞지 않고, 증인출석을 위해선 5일전에 사전 통보해야한다”고 맞섰다.
이와함께 경기도의 교육국 설치와 관련해 증인으로 출석한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에게 간사협의중 야당 간사는 “꼬봉이 무슨 권한이 있냐”고 말하자 여당 간사는 “도 기획조정실장에게 꼬봉이 뭐냐”며 지적했다.
이날 여·야는 간사협의란 명분을 내세워 국감장이 아닌 대기실에 있는 동안 국감장엔 피감기관인 경기도·인천교육청 공무원 150여명이 편치않은 철제의자에 장시간 앉아 속계를 기다렸다.
그러나 여·야는 국감장이 아닌 경기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 갖고 정치공방만 이어갔다.
국감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일부 교육공무원들은 국감 당일 새벽까지 근무하며 준비한 노력이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국감 파행의 주요 원인은 여·야당 의원들이 서로의 입장을 알아들었으면서도 불구하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돌림 노래를 지속한 탓이다.
앞으로는 여·야간에 서로 소통하고, 시작했으면 끝맺을일수 있는 논의를 전개해 나가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