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에서 외제차를 목격하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곳곳에서 파고 드는 외제차를 피해 조심스럽게 운전하려는 습성이 배이기도 한다. 외제차 못지 않게 빛바랜 오래된 차량도 부쩍 늘었다. 찌그러진 차를 그대로 운행하는 경우도 많다. 차량에 드는 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밖에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고급 외제차와 10년 이상된 오래된 차량이 꾸준히 늘고 있다.
빈곤층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사실 소득 양극화에 따른 빈곤층 심화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외환위기 이후 줄곧 제기되고 있는 문제다. 하지만 빈부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릴 때마다 국민들의 마음을 어둡게 한다. 한국조세연구원의 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저소득층에 비해 고소득층의 실질소득이 더 빨리 늘어나면서 계층간 빈부격차가 더 커지고 있다. 소득불평등은 사회갈등을 불러오고 통합을 막는다. 빈부격차가 우리사회를 분열시키고 경제성장에 부담이 될 정도로 확대돼서는 곤란하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안전망 강화가 시급한 것도 이 때문이다.
조세연구원의 분석을 보면 상대빈곤율은 1990년 3.8%에서 1998년 14.8%로 치솟았다가 2001년에는 5.3%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이후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여 2004년 8%를 넘어섰고 작년에는 8.5%로 높아졌다. 가구주가 무학력자인 가구의 빈곤율은 47.6%로 두 가구 중 하나는 빈곤층에 속했다. 가구주가 여성인 가구의 빈곤율도 17%로 남성 가구의 6.6%를 크게 웃돌았다. 계층간 소득격차가 확대되는 속도도 보통 일이 아니다. 장기 불황으로 고용부진이 지속되면 상대적으로 기술과 경쟁력이 떨어지는 저소득층의 일자리가 먼저 줄어들 수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빈부 격차가 심화될수록 그만큼 상당한 사회적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것이다. 정부가 내년 예산에서 복지지출 비중을 역대 최고로 늘린 것도 어느때보다 민생안정이 긴요하다는 인식에서다. 아직도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이 적지 않다. 직업훈련과 재취업을 활성화하는 등 사회안전망을 좀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 소득불균형을 해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다. 일자리 감소야말로 소득불평등과 빈곤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일자리 증대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하는 이유다.
기업의 투자가 밑받침돼야 고용이 증가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기업들은 불확실성만 내세우지 말고 기업가정신으로 투자에 적극 나서야한다. 경제발전의 가장 큰 동력 중 하나가 기업가정신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