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이 발생하면 차입금을 상환하거나 미래를 위해 남겨둔다는 국내 상장사가 3곳중 2곳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상장기업 7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국내기업의 경영성과와 전망’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68.6%가 올해 발생할 수익의 최우선 사용처로 ‘차입금 상환’(34.4%)이나 ‘내부유보’(34.2%)를 꼽았다고 26일 밝혔다.
반면 ‘신규투자’를 하겠다는 기업은 23.7%에 불과해 경제위기의 여파로 재무안정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 대기업은 ‘차입금상환’(36.9%)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현금 내부유보’(28.0%)와 ‘신규투자’(27.7%)를 지목했다.
이에 반해 중소기업은 ‘현금 내부유보’(45.1%), ’차입금 상환‘(29.7%), ’신규투자‘(16.6%) 순이었다.
발생한 수익을 내부에 유보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미래 투자자금 준비’(43.1%)라는 응답이 가장 많아 불확실한 경제여건 하에서 최선의 투자시점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조사대상 기업들의 73.0%는 올해의 전반적인 경영성과가 지난해 보다 ‘호전될 것’(다소호전 68.7%, 매우호전 4.3%)이라고 전망했다.
반대로 ‘악화될 것’이라고 답변한 기업은 27.0%(다소악화 25.2%, 매우악화 1.8%)에 그쳤다.
또 ‘출구전략’에 대한 입장으로는 ‘아직 시기상조’(67.5%)란 답변이 월등히 많았으며 ‘서서히 준비해야 한다’는 응답이 27.4%, ‘지금이 시행 적기’라는 응답은 5.1%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