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마가 한 단계 발전하려면 외국인의 마주시장 개방과 경마팬에 대한 상금 상향조정, 검역과 수송문제 등이 선결과제로 지적됐다.
이 같은 방안은 한국마사회가 창립 60주년을 기념해 최근 서울경마공원에서 개최한 국제경마심포지엄에서 대두됐다.
프랭크 가브리엘 두바이 레이싱 클럽 회장과 홍콩자키클럽 이사 등 경마분야 저명인사들이 참석한 심포지엄에서 가브리엘 회장은 세계적 경마대회로 떠오른 두바이 월드컵 성공사례를 소개하면서 국제적 성공요인으로 높은 상금을 꼽았다.
또 적절한 개최 시기, 최고 수준의 시설, 국가 간 경주마 이동을 위한 검역문제 해결, 우수마와 인력을 유인할 수 있는 매력적인 조건,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조직 구성, 국제 경마언론을 통한 홍보, 스폰서 유치도 한 몫 했음을 내비쳤다.
가브리엘 회장은 6만 명 수용인원을 자랑하는 메이단(Meydan) 신규 경마장이 잔디주로와 보트하우스 등을 갖춰 두바이 새로운 명물의 탄생을 예고했다.
톰 머튼 두바이 레이싱 클럽 수의검역 책임자는 국제경주 개최를 위해 가장 선결되어야 할 과제로 검역과 수송 문제를 지적하고 국가 간 경주마 이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심도 있게 분석해 주목받았다.
윌리엄 네이더 홍콩자키클럽 이사는 국제경주 개최 노하우를 일러주었고 숭 체 밍 싱가포르 터프클럽 이사는 좁은 국토와 적은 인구에도 불구, 마주 33%, 조교사 56.5%, 기수 55.7%를 외국인에 개방해 세계적인 수준 높은 경마를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윌슨 쳉 전 홍콩자키클럽 홍보담당이사는 중국이 경마를 합법화하면 총 매출액 150억 달러(약 18조원), 정부 세수 7.2조원에 달하며 300만 명의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는 거대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근대경마를 일찍 시작한 중국은 1949년 공산혁명 이후 경마가 금지되었고, 1992년 광저우에서 다시 부활했으나 부정부패로 7년 뒤 다시 폐쇄되었다.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엘로디 가르몽 프랑스 갤럽 이사는 한국경마의 국제화 선결과제로 혈통서의 국제공인, 외국인에 대한 마주시장 개방 등을 주문했다.
한국마사회 경마선진화팀 정태인 차장은 “외국 경마산업이 서로 교류, 경쟁해 발전하는 사이 한국 경마는 각종 규제에 발목이 잡혀 낙오되고 있다”며 “경마의 국제화를 위해선 경마에 대한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