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속적인 해양쓰레기 수거 사업에도 불구 하고 중국으로부터 밀려오는 쓰레기 부유물이 해마다 급증, 서해 연안 해저에 침적되거나 해안가에 퇴적돼 어장 황폐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인천시와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경기도와 인천시 해양쓰레기 수거 실적을 보면 2004년도 1천205톤 2005년 1천964톤 2006년 3천716톤 2007년 2천353톤 2008년 2천139톤으로 우리나라 도서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 중 80%가 중국쓰레기며 특히 서남해안 도서지역의 경우 홍콩과 싱가폴 쓰레기도 발견돼 해양쓰레기 처리문제가 시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심각한 상황에 이르자 정부는 전국 20개 해안을 대상으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사업을 시행중에 있지만 외교통상부는 금전적인 부분과 연결되는 민감한 사안을 내세우는 한편 중국과의 외교문제를 우려해 중국측에 대한 문제 제기를 꺼리고 있다.
이에 대해 인천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해양쓰레기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 해당국가에 처리비용을 요구하는 등 정부가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어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은 "해양쓰레기 유입을 차단하기가 어려우면 우선 쓰레기 집하장 등 자체 처리시설 건립이라도 서둘러야 한다"며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시관계자는 "해양쓰레기가 여러 나라에서 유입되는 만큼 국제적으로 문제점 공유와 처리대책 논의가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현재 한강유역의 경우 인천 앞바다 및 한강수계 쓰레기 처리사업 비용분담에 관한 협약 체결로 서울시가 22.8%, 인천시 50.2%, 경기도 27% 씩을 각각 부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는 나라에서 밀려오는 해양쓰레기에 대해서는 외교문제를 우려해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상태로 국제적인 문제점 공유와 처리대책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