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제2금융권으로 확대한 이후 서울지역 재건축 시장을 중심으로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지는 등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버블세븐 지역은 불과 한 달새 아파트 시가총액이 1조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거품이 빠지는 것 아니냐는 조심스런 관측이 나오고 있다.
11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강남, 송파, 서초, 목동, 분당, 평촌, 용인 등 버블세븐지역 61만1천101가구의 시가 총액은 총 446조9천329억원(10일 현재)으로 한달 전 시가총액 447조9천501억원보다 총 1조172억원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TI규제가 제2금융권까지 확대되면서 자금 대출이 용이하지 않아 투자 가수요가 차단된 데다, 강남 재건축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그 여파가 용인·분당 등 고가의 주택이 몰려 있는 버블세븐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또 버블세븐지역 진입을 노리던 실수요자들도 추가 집값 하락을 염두에 두고 주택 매수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가총액이 가장 크게 줄어든 지역은 송파구로 DTI규제가 제2금융권으로 확대된 이후 1개월 동안 86조5천478억원에서 4천513억원 감소한 86조965억원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강남구가 118조7천206억원에서 3천666억원 감소한 118조3천540억원을 보였고 용인시도 69조5천134억원에서 1천610억원 감소한 69조3천523억원을 기록했다. 그밖에 분당 514억원, 목동이 358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초구는 잠원동, 서초동 일대 아파트들의 가격이 강세를 띠면서 DTI규제 확대에도 불구하고 시가총액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평촌은 시가총액이 23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DTI규제 확대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DTI규제가 예상보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그간 오름폭이 컸던 재건축 아파트나 새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조정이 이뤄진 후 신규 수요 증가 및 재건축 규제 완화 여하에 따라 재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