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주민자치센터 예산 대부분이 자치위원들의 수당이나 강사수당으로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도서 구입이나 프로그램 운영, 자원봉사자들의 급식비 등 지원이 상대적으로 등한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시 전체 940명에 달하는 자치위원 중에는 지방의원 22명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수당 지급 여부에 따라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17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3개 구청 주민자치센터에 지원된 예산은 원미구 5억6천318만원, 소사구 2억9천554만원, 오정구 1억7천276만원 등 총 10억3천여만원이며, 올해도 비슷한 규모의 예산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미구의 경우 올해 지원된 5억2천641만원 중 사업운영에 사용자 예산은 1억1천450만원에 불과한 반면 강사수당 1억8천250만원, 자치위원 수당 2억16만원이 집행됐다.
반면 원미구의 도서구입비는 1천35만원에 불과했다. 또 자원봉사자들이 받는 급식비 총액도 1천89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 도서를 구입한 자치센터는 중2동(225만원), 중3동(510만원), 중4동(300만원)이며 그 밖에 자치센터는 단 한권의 도서도 구입하지 않았다. 또 시설비도 한 푼도 지출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소사구도 3억1천797만원의 예산 중 프로그램 운영비로 6천800만원을 집행했고 도서구입은 100만원에 불과한 반면 자치위원 수당이 1억173만원에 달했다. 프로그램 운영비도 구청에서 5천900만원을 집행해 동자치센터 프로그램 운영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도서구입을 한 주민자치센터는 송내1동 1곳 뿐이다.
오정구는 1억9천286만원의 예산 중 자원봉사 급식비 882만원, 도서구입 450만원에 불과했으나 자치위원 수당은 7천308만원에 달했다.
이처럼 예산 상당액이 자치위원과 강사들 수당으로 쓰여지고 있어,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도서 구입 등 주민 여가활동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위축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시 전체 주민자치위원은 지방의원 22명, 자영업 387명, 통반장 47명, 주부 130명, 회사원 67명, 전문직 122명, 민간단체 67명, 농축산업 8명, 기타 90명 등 총 940명으로 구성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