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는 19일 열린 경기도교육청 공보담당관실과 감사관실, 총무과를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무상급식’이란 용어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공보담당관 관계자들에게 질타를 가했다.
이날 이천우 의원(한·안양2)은 무상급식, 교육국 반대서명 등 교육청의 모든 보도자료는 공보담당관실을 통하고 있는데, 도교육청 세입세출예산서 상에 ‘무상급식’이란 용어가 있는지, 또 그 정확한 명칭이 무엇인 지 질문했다.
하지만 교육청 담당자가 답변을 못하자, “지금까지 논란의 핵심이 되어 온 ‘무상급식’의 정확한 공식명칭(학교급식관리의 ‘학교급식경비지원’)을 알지 못하고 무상급식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다분히 선동적이고 정치적인 목적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지난 도교육청 추경예산안 심사에서 도의회 교육위원회에서 ‘학교급식지원’ 예산 85억을 삭감한 대신 ‘저소득자녀 중식지원’ 예산 101억원을 증액해 결과적으로 176억원의 예산이 증액됐음에도 도의회에서 무상급식예산을 삭감했다고 언론을 호도하는 것은 잘못된 처사”라며 교과부의 예산편성 지침에 있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주문했다.
한규택 의원(한·수원6)도 “급식운동추진본부에서 ‘무상급식예산 전액 삭감’이라고 인쇄된 유인물을 길거리에서 배부한 것은 명백히 왜곡된 보도”라며 “이에 대한 사실 확인, 정정의 책무가 있는 도교육청 공보담당관실이 아직까지 이런 문서를 본 적도 없다고 답하는 것은 업무태만”이라고 비판했다. 한 의원은 또 교육감의 외부 강연이나 행사 등에 대해 여과장치가 필요함에도 불구, 공보실이 전혀 이런 역할을 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도 강력 질타했다.
그는 “교육행정의 수장으로 중앙정부와 경기도의회, 경기도와 불협화음을 일으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공보담당관실 관계자는 “일부 보도자료의 경우 실수로 여과없이 배포된 것 같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