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시·군별 차량대수 대비 주차장 부족율이 심각, 주택가 밀집 지역에 공영주차장을 건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김학진 의원(한·고양7)은 19일 녹색철도추진본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주택가 밀집 지역에 대한 공영주차장 건립과 이에 따른 도비 지원 필요성을 역설했다.
올해 도내 차량대수 대비 주차장 비율을 살펴보면, 수원·성남 등 남부지역의 경우 차량등록대수 294만5천573대 대비 확보주차면 수는 251만7천727면으로 14.53%의 주차장 부족율을 보이고 있다.
고양·남양주 등 북부지역도 차량등록대수 100만4천75대 대비 확보주차면 수는 84만95면으로 16.33% 주차장 부족율을 기록했다.
특히 양평군(73.44%), 연천군(70.02%), 여주군(62.57%), 광명(51.65%) 등은 주차장 부족율이 50%를 넘어서고 있다.
김학진 의원은 “아파트 단지와 달리 주택가 밀집 지역은 주차장 부족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면도로에 혼잡하게 주차된 차들로 인해 유아 및 노인들의 교통사고를 유발하고 화재시 소방차의 진입을 방해하는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 “앞으로 주택가 밀집 지역에 대한 공영주차장을 건립하려는 시·군에 대해서는 도비 지원을 적극 검토해 열악한 주차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면서 “시·군별 재정자립도에 따른 도비 차등 지원 필요성 및 이를 위한 경기도 조례를 통한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