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은 21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연구한 IFEZ 개발계획 재정비용역 최종보고회를 갖고 기존 경제자유구역의 재정비와 경제자유구역확대 방안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개발계획 재정비용역은 IFEZ의 1단계 개발사업이 올해 마무리됨에 따라 그동안 추진 실적 및 개발계획을 재조명하고 향후 개발사업의 단계별 계획(2단계:~2014년, 3단계:~2020년)의 개발전략수립 및 경제자유구역의 확대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송도지구의 경우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조류대체서식지의 확대로 변경이 불가피해진 송도 11공구에 대해 조류대체서식지를 이용한 친수공간조성 및 어메너티를 활용한 송도국제도시 활성화 방안이 제시됐다.
또 송도지구 11공구의 인구계획은 토지이용계획상 주거용지가 143.5만㎡에서 136.5만㎡로 7만㎡가 감소됐으나 도시공동화 방지 및 자족도시기능 확보를 위해 기존 인접공구 첨단산업클러스터(5,7공구)의 용적율 수준으로 현실화함에 따라 당초 3만5천명에서 6만9천명으로 인구계획을 수립했다.
특히 11공구내 신항진입도로의 선형을 지하로 만들어 화물차 통행으로 인한 11공구의 도시기능 단절과 토지활용가치 하락, 소음·진동 등으로 인한 조류대체 서식지 파괴 등의 문제를 해소키로 했다.
청라지구에 대해 경인아라뱃길 조성시 발생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대해 관광·레저기능 확대를 위한 편입 타당성 검토 및 청라지구의 개발 컨셉에 대한 재정비 방안도 함께 보고됐다.
또 영종지구는 인천공항 제2청사 건립에 따른 도로와 철도, 신교통시스템 간 연계를 통해 대중교통 순환체계 구축방안과 섬별 특화를 통한 관광·레저산업의 활성화방안에 대한 비전도 제시했다.
이밖에도 경제자유구역 확대 검토방안으로 미래형 남북협력 모델을 위해 강화북단에 해주, 개성, 개풍 지역과 연계되는 남·북 경제협력기지를, 강화남단에는 녹색성장을 선도하기 위한 녹색기술의 허브를 조성하고 문화·관광기능을 강화하는 구상(안)도 제시됐다.
인천시는 경제자유구역 재정비(안) 및 확대지정(안)를 확정, 내년 초부터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변경) 신청을 위해 관련 중앙부처 및 지식경제부와 사전협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