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논의 시기를 놓고 한나라당 친이계는 속도조절론을 친박계와 야권은 속도전을 펼치고 있다.
친이계는 현재 속도조절론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전국적으로 찬성 여론이 다소 높게 나왔고 수도권 민심 역시 찬성인 반면, 충청권 민심은 반대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이계는 시간을 갖고 충청권 설득에 나서면 세종시 수정안 통과가 될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세종시 수정법안 처리를 6월 지방선거 이후로 넘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친이계는 11일 정부 발표 전에는 당초 2월 임시국회 처리의 속전속결을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 발표 이후 충청권의 반발이 극렬하면서 속전속결 대신 속도조절론을 생각해야 한 상황이다.
반면 친박과 야당들은 속도전을 주장하고 있다. 여당 친이계가 충청권을 상대로 설득에 들어갔기 때문에 시간을 끌면 자신들에게 불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친박계는 친이계가 소위 시간을 질질 끌면 끌수록 박근혜 전 대표에게 불리하다 판단하고 있다. 친이계가 수도권 민심을 기반으로 충청권 민심을 격파한다면 친박계에 큰 타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친박계는 빠른 시일 내에 세종시 수정안 강행 논란 조기 종결 및 원안 추진을 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들 역시 마찬가지다. 우상호 민주당 대변인은 14일 논평을 통해 “불리한 여론을 반전시킨 다음 처리하겠다는 정치적 꼼수를 부리고 있는데, 국론 분열이 장기화하면 국가적 불행”이라고 조속한 종결을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14일 열린 한나라당과 민주당 양당 원내대표 회담에서 세종시 수정안 처리 시기 협상가 결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