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고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야간자율학습(이하 자율학습)이 강제적인 방법으로 이뤄지는 곳들이 많아 학생, 학부모들의 불만이 높아가고 있다.
또한 자율학습 시간에 학생들이 잠을 자거나 떠들어도 방치하는 교사들이 있어 교육환경이 악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도내 일반계고는 274개교 전체가 자율학습을 시행, 전문계고는 123개교 중 107개교가 시행하고 있다.
자율학습은 교육과학기술부 지침에 ‘희망학생에 한하여 실시한다’고 전제돼 있지만, 대다수의 학교에서 강제적으로 시행하고 있어 학생, 학부모들이 반발하고 있다.
심지어 수원의 N고등학교의 경우 신입생 입학 당시 자율학습에 동참하겠다는 서약서를 쓰게 해 학생들이 강압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학교 J(1학년) 학생은 “입학할 때 서약서를 쓰지 않으면 혼날 것 같아 의무적으로 썼다”며 “자율학습을 하기 싫어도 선생님이 빼주지 않아 억지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학교 P(2학년) 학생은 “선생님께 학원 다닌다고 말해도 빼주지 않아 대다수의 친구들은 학원에도 못가고 있다”며 “자율학습을 강제로 해서 얼마나 도움이 될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군포의 H고교의 경우 학생들이 자율학습에 참여 안할 경우 교사들이 부모님께 동의를 설득해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 학교 H(2학년) 학생은 “억지로 참여한 자율학습 시간에 친구들은 떠들거나 잠을 자는 학생들을 교사들이 방치하고 있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학부모 J(44·여·수원)씨는 “딸 아이가 다니는 학교에선 경쟁에 성공하기 위해 자율학습을 시행한다고 말하는데 실상 학교를 위해 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며 “학생들의 의견이 무시된 자율학습은 인권을 말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자율학습은 학생 희망과 학부모 동의가 필요한데 학교에서 강제적으로 유도하는 것은 크게 잘못됐다”며 “교육감의 지시에 따라 이달부터 자율학습 현황을 파악해 강제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학교에 대해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