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사람들은 ‘사람은 서울로 보내고 말은 제주도로 보내라’라고 얘기했다. 출세하려면 이른바 ‘큰물에서 놀아야 한다’는 얘기인데 예나 지금이나 농촌은 시쳇말로 ‘찬밥신세’였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지금 농촌사정을 들여다보면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란 말조차 초라해질 수밖에 없다. 농촌에 농민들이 떠나가는 이른바 ‘이촌향도(離村向都)’현상은 산업화가 진행되던 70년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그로인한 농촌은 인구감소와 노령화로 인해 고사 직전이다. 이농현상은 또 다른 문제점을 낳고 있는데 바로 도시과밀현상과 도시내부, 또는 도농간의 빈부격차로 인한 사회문제가 그것이다.
도시에서는 무작정 일자릴 찾아 올라온 농민들로 인해 심각한 빈민문제를 겪어야만 했다. 특히 농촌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아이를 낳을 젊은 사람들이 없으므로 더 이상 농촌의 인구가 증가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지금 농촌에서는 어린아이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다. 또 농사를 지을 젊은이들이 도시로 빠져 나가면서 고된 농사일을 지을 사람들이 없다. 농번기를 앞둔 농가들은 만성적인 인력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농촌지역 상당수의 학교가 급격한 학생수 감소로 폐교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고 한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의 농촌 인구는 311만7천명으로 2008년의 318만7천명보다 약 7만 명가량 줄었다고 한다. 특히 지난 1980년대 1천만여 명에 이르던 농촌인구는 1990년대 600여만 명, 2000년대 들어 400여만 명으로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본보 22일자 7면) 이에 2004년 이후 농업현장에 외국인근로자들을 투입하는 ‘외국인 근로자 고용허가제’(쿼터제)를 시행해오고 있다.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가 시행되면서 지난 2004년 31명이던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수가 2009년 7천874명 등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그런데 농촌에 쉽게 정착을 못하고 떠나는 외국인들도 많다는 것이다. 이유야 임금문제나 노동 강도, 문화시설 부재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 보도를 접하면서 씁쓸한 기분이 드는 것을 어쩔 수 없다. 돈을 벌기 위해 들어온 외국인 근로자들마저도 떠나야 하는 농촌을 살릴 방법은 없는 것일까? 정부는 농촌의 영농후계자 지원과 같은 여러 가지 제도와 그밖에 인구분산을 위한 정책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쳐나가야 하며, 지방에도 도시와 비슷한 문화 및 교육, 복지 시설을 건설해 구호로만 끝나지 않는 ‘돌아오는 농촌’을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