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난 달 31일 국가고용전략회의 후속 실행계획과 도 차원의 일자리창출을 위한 도.시군간 상호협력을 위해 31개 시군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경기도 지역일자리 창출 전략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도 및 시군의 경상경비 및 축제예산을 절감한 재원 540억원으로 신규 지역공동체 일자리 6천여개를 창출하는 등의 주요 내용을 논의했다고 한다.
최근 우리나라 청년 실업률이 10%에 달했다는 소식에 이어 ‘2010년 2월 인천·경기지역 고용동향’(노동부 경인고용센터)에 따르면 경기도 2월 실업률이 5.6%로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는 우울한 소식이다. 2월 경기 실업자는 32만5천명으로 인천과 마찬가지로 외환 위기 이후 최고이며 2월 경기 실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12만4천명(61.5%)이 증가했다. 경기 실업률은 충북 3.4%, 경남 3.3%, 전남 2.2%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경기도의 일자리 창출 노력에 공감하며 성과를 거두게 되길 진심으로 기원한다.
문제는 축제 예산을 줄여서 일자리 창출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겉치레 잔치로 전락해 버린 일부 지역의 유명무실한 축제 때문이다. 현재 경기도내 거의 모든 지자체가 지역의 특산물과 지역명을 앞세워 축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그 속을 들여다보면 지역 기관단체장과 유지, 관계단체 회원, 공무원들만 있고 정작 축제의 주인공인 주민과 관광객들로부터 소외를 당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들 축제의 경우는 실속 없는 형식상의 잔치로 전락해 ‘예산 낭비’라는 비판을 계속 받아왔다. 이런 축제는 없애든지 발상의 전환을 통해 대폭 개선해야 한다.
물론 성공적인 축제도 많다. 경기도의 경우 가평 자라섬 국제재즈페스티벌과 자라섬 씽씽겨울바람축제와 파주 장단콩축제 등이 내실 있는 축제로 평가되고 있다. 이밖에 전국적으로는 보령머드축제, 함평 나비대축제,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 금산 인삼축제, 정선 아리랑제 등이 유.무형의 경제적인 효과와 함께 지역브랜드 효과를 높여주면서 유명 관광지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축제를 줄여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발상이 아니다. 이로 인해 자칫 유망 축제들 까지 피해를 입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경기도는 축소 대상 축제에 대한 평가에 신중을 거듭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