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구제역 방역 제대로 하고 있나

인천 강화와 경기 김포에 이어 충북 충주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다. 지난 8일 강화에서 발생한 지 2주만에 내륙 깊숙한 곳까지 번져 전국 확산이 우려된다. 더욱이 충주에서는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력이 소의 100-3천배에 이르는 돼지가 감염된 것으로 드러나 가축 방역당국에 초비상이 걸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강화에서는 한우·염소 농가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확인됐다.

이번 구제역은 확산 속도가 과거 어느 때보다 빠르고 피해도 크다. 정부가 강화에서 처음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내려지자마자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한 것도 그 때문이다. 정부 수립 후 구제역 사태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4번째라고 하는데 구제역으로 경계 경고가 내려진 것은 처음이다. 하지만, 가축 방역당국은 아직 전염 경로나 매개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당국이 시·도 부시장·부지사 회의를 열어 구제역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이자고 다짐한 지 몇 시간도 채 안 돼 충주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됐고 결국 양성 판정이 내려졌다. 강화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이 열흘 만에 김포로 넘어들어갔고, 다시 이틀 만에 강화의 최초 발생지인 한우농가에서 136㎞나 떨어진 충주 돼지농가로 번졌다.

악성 구제역은 치사율이 50%에 이르고, 현재로서는 죽여서 매몰하는 살(殺)처분이 유일한 예방수단으로 돼 있다. 이 때문에 일단 발병하면 개별 축산농가는 재기가 어려울 정도로 큰 피해를 보고, 방역에 구멍이 뚫려 전국 각지로 번지게 되면 국가 축산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다. 그래서 초동 방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우리 당국은 축산 농가의 구제역 발병국가 여행을 엄격히 단속하고 상응한 제재를 가하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지만, 효과는 크지 않아 보인다. 제재와 단속이 능사는 아니므로 더욱 실효성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등 우리 축산농가들이 비교적 자주 노출되는 동물 전염병의 방역체계를 총체적으로 재점검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늑장대처 행태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가슴이 새카맣게 타들어가는 축산농가들은 자식과 같은 가축의 살처분을 피하려 안간힘을 쓴다고 한다. 기르던 가축이 몽땅 살처분되면 사실상 생업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농민들은 살처분 보상 수준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보상금으로는 재기가 어렵다고 하소연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