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창룡문] 문경 ‘토끼비리’

이해덕 논설위원

중부내륙고속도로 문경새재IC에서 나와 점촌 방면 3번 국도로 갈아타고 10분정도 가다보면 왼쪽에 진남휴게소가 나온다. 문경새재를 적시고 흘러온 조령천이 영강에 몸을 섞는 이 일대는 산과 물줄기가 어우러져 태극 문양을 그리는데, 물가에 솟은 높다란 바위벼랑의 풍광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강 위로는 가은선 철도, 그리고 구교와 신교가 나란히 걸려 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뽐내는 이곳은 경북 8경 가운데 첫손에 꼽히는 진남교반(鎭南橋畔)이다.

진남교반 주차장에서 진남문을 향하다 오른쪽 성벽 아래로 난 작은 길을 따라 100m쯤 들어가면 ‘토끼비리(토천(兎遷) 또는 관갑천잔도(串岬遷棧道))’라고 불리는 옛길이 나온다.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31호로 지정된 ‘토끼비리’는 영남대로에서 가장 위험한 길로 오정산 중턱을 가로질러 겨우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파서 만들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견훤과 전투를 벌이며 남하하다) 이곳에 이르렀다. 절벽에 길이 막혀 헤매고 있는데 때마침 토끼 한 마리가 벼랑으로 달아나고 있었다. 토끼가 지나간 길을 따라 벼랑을 잘라 길을 냈다.’

과거 동래에서 서울까지 360㎞에 이르는 영남대로 가운데 가장 험한 길로 유명했던 ‘토끼비리’는 ‘영남대로’를 쓴 고려대 최영준 명예교수에 의해 1980년대 재발견되기까지 역사의 뒤안길에 내버려져 있었다. 최 교수는 ‘토끼비리’를 발견하고 “이 길에 한국의 모든 옛길 역사가 녹아 있다”고 말했다. 길이는 길지 않지만 길이 보여줄 수 있는 역사, 축대공법, 사연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는 얘기다. 영남대로 상에 주요 잔도로는 충주 남쪽의 달천 좌안, 문경새재 제2관문인 조곡관 아래의 용추 부근, 밀양의 작천, 양산의 황산천 등에 있었으나 지금은 문경의 토끼비리와 밀양의 작천잔도 만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 나머지는 사라지고 없다.

옛길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아직은 막막한 상황에서 그나마 이 길이 남아 있어 다행이다. 잠시 현대인의 일상에서 벗어나 옛길에서 온고지신(溫故知新)을 새겨보면 어떨까. 신록의 5월에 선조들의 지혜가 살아 숨 쉬는 ‘토끼비리’ 옛길을 추천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