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를 가르치는 교사가 전교조 가입 교사가 아니길 바라는 마음은 학부모들의 한결같은 심정일까. 아니면 우리 아이만큼은 꼭 전교조 교사가 가르쳤으면 하고 바라는 마음 간절할까. 학부모들 마다 견해의 차이가 있겠지만 아직까지는 학무모나 학생들에게 전교조 가입교사를 선택할 수 있거나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 그렇지만 우리 아이를 책임지고 있는 교사가 전교조 가입교사인가 이닌가 정도는 알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전교조 명단을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려 공개한 이는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이다. 법원의 공개금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전교조 가입교사 명단을 자신의 홈페이지에 게시해 지난달 27일부터 하루 3천만원씩을 전교조에 지급하게 된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이 4일 자정을 기해 명단을 홈페이지에서 내렸다. 조 의원은 지난 3일 국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내일 자정을 택한 이유는 그만큼이 제가 책임질 수 있는 이행강제금의 한계이기 때문”이라며 “한해 백억 원이 넘는 조합비를 쓰는 귀족노조에 ‘바칠’ 이유는 더더욱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조 의원은 “IMF 때 빚보증 문제로 대학 봉급을 차압당해 고생한 아내를 더 이상 공포감에 시달리게 하는 것은 국회의원을 떠나 지아비의 도리가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조 의원이 돈 과의 싸움에 졌다고 판단하고 전교조 명단을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내리는 어려운 결정을 했다. 그러나 주변에서는 “이미 전교조 명단은 인터넷에 퍼졌고, 전교조 명단 공개가 이번 지방선거의 쟁점으로 떠오를 조짐을 보이는 등 이슈화에 성공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법원의 금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동료 국회의원들의 전교조 명단 공개 동참이 이어지고 있는 것도 그렇다.
한나라당 진수희 의원은 4일 전교조 명단을 공개하는 의원이 30여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진 의원은 “조 의원에게 부과된 1억원이 넘는 법원의 강제 이행금을 혼자 부담하게 할 수 없다”며 “국회의원들이 십시일반으로 강제 이행금을 내도록 모금 운동을 벌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어느누구도 감히 상대할 수 없었던 거대 집단 전교조에 홀몸으로 대항했던 조 의원의 뜻에 동참하는 의원과 국민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안병현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