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지방중소기업청(이하 경기중기청)이 경기북부사무소 신설을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따라서 정부가 그동안 고수했던 불가 입장이 전환돼 도내 북부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지원이 개선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7일 경기중기청에 따르면 경기중기청은 지난달 30일 행정안전부에 경기북부사무소 신설을 요청하는 내용의 공문을 제출했다.
사무소 신설에 대한 세부내용은 창업성장지원과 12명, 기술혁신 지원과 8명 등 2과, 20명으로 구성되며 벤처·창업지원, 공공구매지원, 기술혁신지원 등 현재 경기 중기청에서 진행하는 모든 지원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경기북부지역의 경우, 경기도 전체의 22.7%에 해당하는 1만613여개(2007년 기준)의 사업체가 소재하고 있으나 전담 지원기관이 없어 수원에 소재한 경기중기청까지 방문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현 정부출범 이후 수도권 규제 완화,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등에 따라 기업여건이 개선되면서 19개의 산업단지가 조성이 완료됐고 26개의 산업단지가 조성 중이거나 예정에 있어 향후 기업 증가에 따른 행정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경기중기청과 지역 상공회의소 등 도내 유관기관들이 지난 2002년부터 올해까지 19차례에 걸쳐 경기북부사무소에 대한 설치를 건의했다.
반면 정부는 공무원 정원동결, 수도권 규제 등을 명분으로 개설불가 입장을 10년 가까이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경기중기청의 요청에 따라 정부의 입장도 변화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북부소재 기업들의 기대치는 어느때 보다 크다.
경기북부지역은 중기청을 제외한 중소기업진흥공단, 교육청, 경찰청, 통계청 등 주요 정부기관들의 전담 지원기관들이 이미 설치돼 있다.
또 최근 김문수 도지사가 도 산하기관인 제2의 중소기업지원센터를 북부지역에 신설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면서 분위기가 한층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중기청 관계자는 “정책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경기북부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활성화를 가속화할 필요성이 시급하다”며 “만약 북부사무소가 개설된다면 중소기업지원을 위한 접근성과 적시성 향상은 물론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지원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행안부는 경기중기청이 요청한 북부사무소 신설에 대한 승인 여부를 내달 초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