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거리에서 장애인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물론 선진국이라고해서 장애인들에 대한 편견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은 당당하고 자유롭다. 또 정부나 국민들도 장애인들에 대해 커다란 아량을 보이며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써주고 있다. 장애인 복지의 질도 우수하다. 스웨덴이나 독일 같은 경우 우리나라 장애인들이 부러워할 만큼 장애인 복지정책이 잘 되어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스쿠터나 전동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인도의 턱이 높고, 무단 주정차 차들과 각종 무단 적치물 때문에 통행이 불편하다. 따라서 전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은 위험스런 차도로 내려갈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최근 본보 보도에 따르면 도로교통법상 차도로 주행할 수 없는 장애인과 노약자가 이용하는 전동휠체어가 인도의 표면이 고르지 않고 홈이 있는데다 경사면에 턱이 높아 사고위험이 높은 차도로 내몰린다고 한다. 따라서 전동휠체어 이용자들은 안전하게 인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노면을 굴곡을 없애고 경사면 턱을 제거하는 등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애인들에게 보행권을 보장하지 않는 것은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직업을 가질 수 있고 가고 싶은 곳을 갈 수 있고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문화생활과 취미를 즐기는 등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 그런데 장애인들은 이동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적 인간으로 살아가기 힘든 것이다. 따라서 장애인의 보행권 보장,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정부나 지자체는 장애인 정책 수립 땐 장애인의 입장을 확실히 고려해야 하며 그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일반인들은 장애인들의 고통을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제 6월2일 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다. 그런데 도내 일부 투표소가 엘리베이터가 없는 2층에 투표소를 마련하는가 하면 점자블록이나 음성안내 기능이 설치된 곳이 거의 없어 투표소를 찾아가는 것조차 힘겹다고 한다. 특히 동행할 가족조차 없이 홀로 살고 있는 장애인의 경우는 투표소에 찾아가기 힘들어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포기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예전과 달리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사회참여 의지가 높아가고 있다. 그러나 국가나 지자체의 배려는 부족하기 이를 데 없다. 장애인들이 투표소에 접근하기 힘들어 참정권을 박탈당한다면 이건 잘못돼도 한참 잘못된 행정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