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천안함 사태를 북한의 군사적 도발이며 유엔헌장과 정전협정, 남북기본합의서를 위반한 것으로 규정했다. 이 대통령은 석가탄신 공휴일인 21일 3시간 동안 청와대에서 국가안보회의를 열고 “심각하고 중대한 사안인 만큼 모든 대응조치도 한 치의 실수 없이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의에서는 우선 군사적인 측면, 남북관계의 오늘과 내일, 국제적인 측면과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했다고 한다.
북한이 다시는 무모한 도발을 자행할 수 없도록 정부가 중심을 잡고 체계적이고 단호하게 대응하되, 모처럼 회복세에 들어선 우리 경제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묘책을 신중하게 세워나가야 할 상황이다. 이 대통령이 국군통수권자로서 긴장 국면의 남북관계를 현명하게 관리하면서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총괄적으로 균형 있는 대처를 위해 고심을 거듭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명박 정부 들어 이번에 네 번째 소집된 국가안보회의는 예정시간을 훨씬 넘겨 시종 심각하고 엄중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내주 초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앞둔 상황에서 사실상 함구령이 내려졌다고 한다. 그러나 천안함 사태 관련 국제공조 강화 방안과 군 대비태세, 남북관계와 국가 신인도 관리, 사이버 테러 등 북한의 비대칭 위협에 대비한 국가 대비태세 등에 대해 당연히 해당장관 등의 브리핑이 이뤄지고 후속 대책이 집중적으로 토론됐을 것이다. 천안함 사태 관련 사전 대비나 사후 대처 과정에 허점이 이미 여러모로 노출됐다.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천안함 침몰 조사 발표와 관련 “현사태를 전쟁국면으로 간주하고 북남관계에서 제기되는 모든 문제에 단호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평통은 전날 북한의 최고기관인 국방위원회가 천안함 조사결과 발표를 ‘날조극’이라고 비난하면서 검열단 파견을 제안하고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는 ‘원칙’을 밝힌 데 따라 대남기구로서 입장을 천명한 것이다. 천안함 사태 역시 6·25 전쟁이 60년째 정전상태인 이 시대 이 민족의 비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