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사회가 행정투명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부패영향평가제를 도입키로 했다.
23일 마사회에 따르면 마사회는 부패발생요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부패영향평가제도를 오는 6월부터 실시한다.
이 시스템은 불확실하거나 자의적인 해석이 가능, 부패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규정의 명확성을 높여 비현실적인 기준, 불확정한 개념 등에 의한 특혜요인을 사전 집중 평가로 차단한다.
이를 위해 마사회는 전담 부서를 둬 규정 내용 중 불합리한 기준의 포함여부를 체크리스트에 의해 집중 평가할 예정이다.
또 규정을 적용받는 민원인들에게 부당한 조치나 과도한 수익 등을 따지는 동시 담당자의 권한 남용을 살피고 모든 행정절차는 정보를 공개, 투명성을 한층 높이기로 했다.
마사회는 외부 부정적 시각과는 달리 부정부패 감시체계가 철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비상임 이사 수를 늘려 외부 감시기능을 대폭 강화, 윤리경영 정착의 발판을 마련했고 내부직원과 외부인이 임직원의 부정이나 비리를 신고하는 체제를 구축했다.
특히 기수·조교사·관리사 등 경마관계자들의 비위행위를 조사, 경마의 공정성을 높였다.
이런 노력 결과 마사회는 국가권익위원회 청렴도 평가에서 3년 연속 청렴우수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마사회 관계자는 “경마시행체는 외부에서 본질적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한층 청렴하고 윤리적인 기업으로 거듭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하고 있다”고 밝혔다.